The Authentication Model which Utilized Tokenless OTP

Tokenless OTP를 활용한 인증 모델

  • 김기환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보안학과) ;
  • 박대우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보안학과)
  • Published : 2006.12.15

Abstract

Is need Remote Access through internet for business of Ubiquitous Computing age, and apply OTP for confidentiality about inputed ID and Password, network security of integrity. Current OTP must be possessing hardware or Token, and there is limitation in security. Install a Snooping tool to OTP network in this treatise, and because using Cain, enforce ARP Cache Poisoning attack and confirm limitation by Snooping about user password. Wish to propose new system that can apply Tokenless OTP by new security way, and secure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Do test for access control inflecting Tokenless OTP at Remote Access from outside. and could worm and do interface control with certification system in hundred. Even if encounter hacking at certification process, thing that connection is impossible without pin number that only user knows confirmed. Because becoming defense about outward flow and misuse and hacking of password when apply this result Tokenless OTP, solidify security, and evaluated by security system that heighten safety.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업무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접속이 필요하고, 입력되는 ID와 패스워드에 대한 기밀성 무결성의 네트워크 보안을 위하여 OTP를 적용하고 있다. 현재의 OTP는 Token이라는 하드웨어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보안에서도 취약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TP 네트워크에 스니핑 도구를 설치하고, Cain을 이용하여 ARP Cache poisoning 공격을 시행하여 사용자 암호에 대하여 스니핑으로 취약점을 확인한다. 새로운 보안 방안으로 Tokenless OTP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외부에서 원격 접속 시 Tokenless OTP를 활용하여 접근제어를 위한 테스트를 하고, 접속에서 인증시스템과 연동하여 접속제어를 할 수 있었다. 만약 인증과정에서 해킹을 당해도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핀 번호 없이는 접속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 Tokenless OTP를 적용할 시에 패스워드의 유출 및 오용과 해킹에 대한 방어가 되어 보안성을 강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보안 시스템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