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화용 배양토가 구절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ixture on the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 Shin Young-Seob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un Sei-Young (Department of Botanical Resources, Sang-Ji University)
  • 발행 : 2006.02.01

초록

유망 야생화의 하나인 구절초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토를 구명하기 위해 무기재료로서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암쇄토, 모래, 밭토양을 사용하고 유기물원으로서 피트모스, 부염, 퇴비를 혼합한 배양토를 조성하여 구절초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구절초의 생육은 유기물원으로 부엽이 들어간 배양토에서 피트모스나 퇴비를 혼합한 것에 비해 현저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후 배양토의 이화학성 분석 결과 부엽과 피트모스를 사용한 배양토의 화학성은 모든 성분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퇴비를 사용한 처리에서는 pH가 ($8.6{\sim}8.9$)로 매우 상승하였고 인산의 함량이 ($237{\sim}1158\;mg/kg$)로 높아져 구절초의 생육을 불량하게 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트모스는 화학성분 조사 결과로서는 부엽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분의 공급 능력에서 부엽에 미치지 못하여 구절초의 생육이 불량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구절초의 생육에 대한 통계처리 결과를 살펴보면 구절초의 배양토에 있어서 부엽을 유기물원으로 혼합한 상토가 피트모스나 퇴비에 비해 유의성 있는 생육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부엽을 사용한 VPL, SaVPL, SVPL, UVPL 처리 간에 있어서도 VPL과 UVPL처리가 SaVPL 및 SVPL에 비해 유의성 있는 생육차이를 보였다. 피트모스를 혼합한 처리들과 퇴비를 혼합한 처리들 사이에는 피트모스 처리들이 퇴비에 비해 생육이 양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 of proper culture medium for differentiation culture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The combinations of culture medium were consisted with an inorganic materials such as vermiculite, perlite, saprolite, sand and upland top soil, and with an organic materials such as peat-moss, leaf mold and compost. For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the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 root length and root weight in the combination of leaf mold was relatively great as compared to the treatment with peat-moss and compost. It was considered that humus might be contribut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s well as the sequential nutrient supply. For the combination of peat-moss, the plant growth was not good because of not sufficient nutrient supply, Also, the plant growth in the treatment of compost was so bad because of enhancement of culture medium pH 8.9 and increasement of phosphorous con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이열, 안인. 2002. 우리나라 상토의 특성 및 유통. 토양과 비료 10. 17
  2. 김영배. 2001. 상토의 표준분석법 설정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 농업과학기술원. 99
  3. 김재영, 홍영표, 한인송. 1989. 국내 자생국화에 관한 연구. 농천진흥청 원예시험장.59-66
  4.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501
  5. 송정섭. 1999. 야생화 산업현황 및 화훼화 방향(I). 한국의 자생식물가을 . 겨울.22-27
  6. 송정섭. 2002. 자생화 산업현황 및 화훼화 방향. 한국 야생화 개발과 이용 심포지엄발표 자료요약집. 1-8
  7. 노승문, 송정섭, 서정근. 2001. 세계의 심화훼 개발 현황과 자생화수요전망. 한국원예 기술지 19(2): 253-261
  8. 송정섭. 2001. 분화용 자생화 적정 분화용토 개발. 원예시험 연구보고서. 192-198
  9. 신영안. 1992. 육묘용 상토조제 실태와 상토 자재 특성. 시설원예연구회지 3(1):33-42
  10. 최세현. 2001. 우리나라 자생식물 산업고찰. 농업경영정책연구 28(4): 757-773
  11. Bunt, A, C. 1988. Media and mixes for container grown plants. Unwin Hyman, London
  12. Heren A. 2000. Flowering pot plants boost large German market. Flower TECH. Elsevier 3(7): 16
  13. Hanan, J. J. 1977. Greenhouse; Advanced technology for protected horticulture. CRE press, New York
  14. Michiels, P, R, Hartmann, C. Coussens and M. Tattini. 1993. Physical properties of peat substrates in ebb/flood irrigation system. Acta Horticulture. 342: 205-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