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Korean Cosmetic Market through Mapping the HS Code to Category of Legal System in 2004

국내 화장품 분류와 HS코드와의 맵핑(Mapping)을 통한 2004년 시장분석

  • 김영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산업팀) ;
  • 황순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산업팀)
  • Published : 2006.03.03

Abstract

Through mapping the HS code to category of Korean legal system, Korean cosmetic market in 2004 was as fellow; domestic demand size (=production-export+import) is 3,272 billion Won that was decreased 5.6% compared with previous year. The sum of production and import of cosmetics are decreased 0.6% and 4.4%, respectively, compared to last you, but that of import is increased 55.7% dramatically. Among the export items, the amounts of shaving and hair treatment exhibit high growth rates. The fragrances, hair dye and make-up products show huge negative growth rates, but baby product and nail care grow positively in domestic demand records. Market share of imported product is overall 17.8%. Fragrances, hair dye and bath product share large market, respectively.

우리나라의 화장품법상 유형분류를 기준으로 수출입 통계에서 사용되는 HS 코드를 맵핑하여 통합분류를 통한 2004년 국내 시장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수 규모(생산액 - 수출액 + 수입액)는 3,272 십억원으로서 2003년 대비 5.6% 감소하였다.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2003년 대비 0.6% 감소되었고 수입은 4.4% 감소하였으나 수출은 55.7% 증가하였다. 수출품목 중 면도용과 두발용 화장품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내수실적은 방향용, 염모용, 메이크업용 등의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어린이용, 매니큐어용 두 품목만이 증가하였다. 수입제품 점유율(=수입액/내수액)은 17.8%로서 2003의 18.0%에 이어 정체되고 있는 경향이다. 유형별로는 방향용(79.6%), 염모용(27.6%) 및 목욕용(26.6%)의 점유율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화장품법, 보건복지부 (2003)
  2. 화장품법 시행령, 대통령령 (2000)
  3. 화장품법 시행규칙, 보건복지부 (2000)
  4. HS 품목별 수출입통관편람, 한국관세무역연구원 (2005)
  5.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6. 화장품 생산실적, 대한화장품협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