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Responses of Soybean in Paddy Field Depending on Soil and Cultivation Methods

콩의 논 재배시 토성 및 재배 방법에 따른 콩의 생장분석

  • 조준형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nvironment-friendly cropping system of soybean in paddy field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When the soybean was cultivated in paddy fields, growth responses of testing cultivars varied depending on soil texture and cultivation method. Growth responses of soybean in sandy loam tended to be better than those in clay, however the effect of high ridged cultivation was distinguished in clay loam. Especially, formation of rhizome nodu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oils ; more numerous rhizome nodules were formed in sandy loam compared to that in clay. Plant heights of Taekwangkong and Eunhakong were highest in clay and sandy loam, respectively, while the number of pods and branches of Eunhakong were most in both soils. In clay paddy field, growth responses of Eunhakong were best among the testing cultivars, however high ridged cultivation was more appropriate to the cultivar compared to level row cultivation regardless of soils. Taekwangkong showed the highest leaf area indexes during whole growth stages. Leaf development of Daewonkong was suppressed in clay at early growth stage, while it significantly increased as growth stages progressed. Most retard leaf development was observed in early maturity cultivar, Hwaseongputkong, since it seemed to be seriously damaged by excess-moisture injury in both soils. Comparing the dry weight of top plants and roots, plant growth was more affected by soil texture than cultivation methods at early vegetative growth stage, via verses at R2 or R5 stages. In yield characters and yields at R8 maturity stage, pods number of Eunhako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aewonkong and Taekwangkong estimating to 107 and 124 in clay and sandy loam, respectively. The ratio of ripened seeds was highest in sandy loam in combination with high ridged cultivation, while the lowest in clay with level row. The yields of Deawonkong and Eunhakong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testing cultivars ranged from $l82{\sim}286kg/ha$ depending on soils and cultivation methods. In results, growth responses and yields of testing cultivars tended to be higher in sandy loam in combination with high ridge compared to clay with level row.

토성과 재배방법을 달리한 논에서의 콩 재배 시 국내 육성 콩 품종의 생육반응과 수량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성이 다른 논에서의 콩 재배시 공시 품종들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은 점질토 논 보다 사양토 논에서 높은 경향인 반면, 고휴재배의 효과는 사양토 보다 점질토 시험구에서 뚜렷하였다. 특히 지하부의 근류균 형성은 토성간의 차이가 컸는데, 사양토 시험구에 비해 점질토 시험구에서 근류의 형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토성 간 공시품종들의 생육반응 차이는 다양한데, 태광콩과 은하콩이 두 토성 모두에서 경장이 가장 컸으나, 분지수와 협수는 은하중이 가장 많았다. 은하콩의 경우 점질토 시험구에서의 생육특성에서 우수하였으나, 고휴재배 시 생육특성이 평휴보다 우수하였다. 토성 간 염면적 변화에 있어서, V5와 R2 시기에는 사양토 논에서 그리고 R5 시기에는 점질토 논에서 엽면적 지수가 높았다 태광중은 전 생육기에 걸쳐 엽면적 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대원콩은 생육 초기 점질토 시험구에서 잎의 발달이 가장 미약하였으나 생육 후기에는 크게 증가하였다. 조생종인 화성풋콩은 생육초기 엽면적 지수가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으나 생육기 진전에 따른 염면적 증가가 공시품종 중 가장 적어 두 토성 모두에서 습해의 피해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상부 건물중에 있어서, V5 시기에는 재배방법 보다 토성이 지상부 생육에 영향을 더 많이 준 반면, R2와 R5 시기에는 재배방법 간의 지상부 생육차이가 더 컸다. 특히 R5 시기에는 점질토와 사양토 시험구 모두에서 고휴재배가 평휴재배보다 지상부 건물중이 크게 높았다. 근건중 변화에 있어서, 생육초기에는 토성 및 재배방법에 따른 지하부 근건물중의 변이가 크지 않았으나 R5 시기의 근건중은 재배방법 및 품종 간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태광콩과 대원콩은 점질토와 사양토 시험구 모두에서 근건중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나, 화성풋콩은 지하부 생육이 가장 낮았다. 등숙기인 R8시기의 수량구성 요소 및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 은하콩의 협수는 점질토와 사양토 논에서 각각 평균 107개와 124개로 대원콩 및 태광콩보다 많았다. 등숙율은 사양토 고휴재배가 가장 높았던 반면 점질토 평휴재배가 가장 낮았은 경향이었다. 수량성에 있어서는 대원콩과 은하중이 토성 및 재배방법에 따라 $l82{\sim}286kg/ha$로 가장 높았는데 점질토 보다는 사양토에서 그리고 평휴보다는 고휴재배에서 수량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