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agement, Feeding Practices, Milk Yield and its Quality in Korean Dairy Farms: a Survey

낙농농가의 관리수준, 사양형태, 유생산성과 우유품질에 관한 조사

  • 김현섭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이왕식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기광석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이현준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백광수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안병석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아주말 칸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 김상범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낙농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feeding and management practices on milk quality and dairy farm productivity in Korea. Fifty dairy farms in Gyunggi (11), Gangwon (22), Chungnam (17) provinces were surveyed to collect data on the herd size, housing style, feeding management, waste disposal, milking practices and milk yield. Milk tank samples from all farms under study were also collected to enumerate its composition and quality parameters. Large dairy herds are equiped with better housing, milking and waste control facilities than medium and small dairy herds. Higher concentrate feeding to lactating cows was noticed in small dairy herds (47.51 %) than in medium (32.59 %) and large dairy herds (31.82 %). The decrease in concentrate feeding to lactating cows with increase in number of cows per farm resulted in a simultaneous increase in the use of imported forages. Bacterial count in milk was affected by housing and milking facilities at dairy farms. Higher bacterial counts (Coliform and E. coli) in milk were observed in cows housed in stanchion than those under free stall with saw dust bedding. The bacterial counts were higher with bucket milking system than with pipe-line and parlour system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airy cows per farm and thus better management and milking facilities resulted in a reduction in somatic cell score. Milk yield (per cow) was higher in herds with less somatic cell score. Average milk protein concentration was between 2.89 to 2.98 % and milk urea nitrogen was between 21.81 to 23.31mg/ml on surveyed dairy farms. This study concluded that large herd size with better dairy cow management facilities is crucial to produce quality milk with better dairy farm income.

본 연구는 사양과 관리 방법이 낙농농가의 우유품질과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농가는 경기 (11), 강원 (22)과 충남 (17) 지역의 50농가를 선정하여 사육규모, 우사형태, 사양관리, 분뇨처리, 착유와 생산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조사농가로부터 우유저장 탱크에서 우유 샘플을 채취하여 우유 성분과 품질을 분석하였다. 착유우의 사육 규모가 큰 농가가 중간 규모나 적은 규모의 농가에 비하여 우사, 착유관리와 분뇨처리를 위한 시설을 잘 갖추고 있었다. 착유우에 대한 농후사료 급여량이 소규모의 낙농가 (47.51%)가 중간 규모의 낙농가 (32.59%)나 규모가 큰 낙농농가 (31.81%)에 비하여 많은 양을 급여하고 있었으며, 착유우의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낙농 농가에서의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감소되는 동시에 수입조사료에 대한 의존도는 증가하였다. 우유 중의 세균수는 우사 및 착유실의 형태에 따라서 영향을 받았으며, 계류식 우사에서 착유우를 사육하는 농가의 우유 중 세균수 (Coliform과 E. coli)가 후리스톨이나 톱밥우사에서 사육하는 농가에서 보다 높았다. 바켓식 착유를 하는 농가의 우유 중 세균수가 파이프라인이나 텐덤 (tendem)과 헤링본 착유시설을 보유한 농가에서 보다 높았다. 착유우의 사육두수가 많은 농가일수록 관리와 착유를 위한 시설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어 체세포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체세포 등급이 높은 착유우에서 우유 생산성도 높았다. 그리고 조사된 농가의 평균 우유 중 단백질 농도는 2.89 에서 2.98% 이었고, 우유 중 요소태 질소 함량은 21.81에서 23.31mg/dl 이었다. 이런 결과는 착유 두수가 많은 농가일수록 착유우의 관리를 위한 시설을 개선하고 있어, 유질이 개선되고 농가의 수입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roderick, G. A. and Clayton, M. K. 1997. A statistical evaluation of animal and nutritional factors influencing concentrations of milk urea nitrogen. J. Dairy Sci. 80:2964-2971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7)76262-3
  2. Counsin, M. A. 1982. Presence and activity of psychrotrophic microorganisms. J. Dairy Sci. 64: 157-160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1)82543-X
  3. Eicher, R., Bouchard, E. and Bigras-poulin, M. 1999. Factors affecting milk urea nitrogen and protein concentration in Quebec dairy cows. Pre. Vet. Med. 39:53-63 https://doi.org/10.1016/S0167-5877(98)00139-1
  4. Godden, S. M., Lissemore, K. D.. Kelton, D. F., Leslie, K. E., Walton, J. S. and Lumsden, J. H. 2001. Relationship between milk urea concentrations and nutritional management, production and economic variables in Ontario dairy herds. J. Dairy Sci. 84: 1260-1268
  5. Hof, G. M., Vervoom, D., Lenaers, P. J. and Taminga, S. 1997. Milk urea nitrogen as a tool to monitor the protein nutrition of dairy cows. J. Dairy Sci. 80:3333-3340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7)76309-4
  6. Jonker, J. S., Khon, R. A. and Erdrnan, R. A. 1999. Milk urea nitrogen target concentration for dairy cows fed according to National Research Council recommendations. J. Dairy Sci. 82:1261-1273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9)75349-X
  7. Lampert, L. M. 1975. Modern dairy products. Food trade press. London
  8. Nishibu, J. 1998. Current status of MUN utilization in Japan. Tokachi Federation of Agriculture Cooperative. Japan
  9. Oltner, R. and Wiktorsson, H. 1993. Urea concentrations in milk and blood as influenced feeding varying amounts of protein and energy to dairy cows. Livestock Prods. Sci. 10:457-467
  10. Patel, G. B. and Blankenagel, G. 1972. Bacterial counts of raw milk and flavour of the milk after pasteurization and storage. J. Milk Food Tech. 35:203-206 https://doi.org/10.4315/0022-2747-35.4.203
  11. Robert, T. Marshal!. 1993.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Washington, DC.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3
  12. Roseler, D. K., Ferguson, J. M., Sniffen, C. J. and Herrema. J. 1993. Dairy protein degradability effect on plasma and milk urea nitrogen and milk nonprotein nitrogen in Holstein cows. J. Dairy Sci. 76:525-534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3)77372-5
  13. Thomas, S. B., Druce, R. G. and King, K. P. 1966. The microflora of poorly cleansed farm dairy equipment. J. Appl. Bact. 29(2):109-122
  14. 김대중, 정충일. 1993. 국산원유의 미생물적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15(2)95-102
  15. 김종욱, 김내수. 1980. 원유의 유질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22:477-486.
  16. 문진산. 2002. 전소에서 유성분 분석을 통한 영양과 번식상태 평가 및 우군건강관리 프로그램개발.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손인수. 1999. 원유의 품질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온살균유의 self-life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윤순식, 진영화, 정순옥, 문운경, 황우석, 최상호, 이재진. 1999. 국내 젖소 번식장애우에서 요소태질소 농도 측정 및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우병학회지. 4:1-4
  19. 최석호. 1999. 고품질 우유의 생산기술개발. 농림기술개발사업보고서
  20. 허덕, 신승열. 1997. 원유품질 고급화의 경제 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p 72
  21. 허정원, 김영주. 1996. 착유과정이 원유의 미생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18: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