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utput in Life Sciences and Other Sciences Through Analysis of KOSEF's Database

생명과학분야의 분야별 연구인력 및 연구성과 분석

  • 민태선 (한국과학재단 전문위원실) ;
  •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책연구부) ;
  • 박수현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한인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Research outpu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cluding Life Sciences were analyzed using KOSEF's Database. The total number of Life Sciences scientists participating in KOSEF's Database was 7,413(33.1 percent), and during the latest five years(2001 to 2005),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SCI(Scientific Citation Index) journals and Non-SCI journals by them was 47,740(37.7 percent) and 72,115(39.9 percent),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articles per capita published in SCI journals during the latest five years was 5.0 in Biology, 4.1 in Agricultural Sciences, and 7.5 in Medical Sciences. The average number of articles per capita published in SCI journals within Life Sciences was 12.1 in Pharmaceutical Chemistry, 10.3 in Allergy and Immunology, 10.0 in Physiology and Pharmacology, 9.7 in Anatomy and Cell Biology,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urve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in comparisons of research output between Life Sciences and other science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한국과학재단 연구인력 DB를 활용하여 생명과학을 포함한 국내 이공계 연구자의 연구실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DB에 수록된 생명과학분야 연구자수는 7,413명(점유율 33.1%)으로서 최근 5년간(2001년부터 2005년까지) 게재실적은 SCI 학술지가 47,740편(점유율 37.7%)이었고, 일반학술지가 72,115편(점유율 39.9%)이었다. 최근 5년간 1인당 SCI 학술지 게재실적은 생물 5.0편, 농수산 4.1편, 기초의과학 7.5편으로 조사되었다.생명과학분야중 세부분야별 연구자의 1인당 SCI 논문게재 실적은 약품화학 12.1편, 면역학 10.3편, 생리 및 약리학 10.0편, 해부 및 세포생물학 9.7편 순이었다. 본 조사분석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세부분야간 또는 타 이공계 분야간의 연구실적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의 상대 비교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민태선, 김성용, 조순영, 정순욱, 한인규. 2005. 한국과학재단의 생명과학분야 기초연구지원 추이분석을 통한 연구활동 활성화 제언. 한국생명과학회지. 5(1):152-159
  2. 한국과학재단. 2004. 과학재단 연구과제의 질적 수준 분석. pp.14-16
  3. 한국과학재단. 2005a. 연구인력 data base
  4. 한국과학재단. 2005b. SCI DB를 이용한 국내 대학 연구실적의 지표 시스템 개발 및 질적 수준 분석. p.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