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Model for Estimation of Green-Tourism Revenue on Rural Village by Factor Analysis

요인분석에 의한 농촌마을의 그린투어리즘 수익 추정 모형 개발

  • Um, Dae-Ho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 Kim, Tai-Cheol (Dept. of Bio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Gim, Uhn-Soon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엄대호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태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
  • 김은순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경제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Recently, Owing to booming of leisure activities and national enforcement of 5-day workweek system,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rural tourism policy of which operating project's title is Green Rural Experience Villag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etc. In this study, ken investigation result on Green Rural Experience Village sites, an estimation model of returns by green-tourism activities was developed. The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 Regression model developed can estimate green-tourism revenue by investment budget, homepage preengagement sales, homepage visitors, capacity of eating and drinking facilities, capacity of lodging facilities. The model developed was applied in sample villages. With these results, estimation revenue was recorded average 138.3% of survey revenu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good(correlation coefficient $R^2$ = 0.8255, level of significance : 0.000), and the range of relative error was recorded largely from -7.1% to 158.6%, and average relative error was 38.3% and good. And,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ve the critical point in aspects of insufficient data, but the results will be used in green-tourism policies and projects, and revenue estimation about each village in the present and future is limited, but in province or the whole country the application is good.

Keywords

References

  1. 권용대, 홍종숙, 2003,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그린투어리즘의 경제성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3) : 17-23
  2. 김경덕, 2004, 농촌 . 농가인구 및 농업노동력 중장기 전망과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남조, 2004, 농촌어메니티 개념과 관광현상 구성요소를 이용한 농촌관광정책의 방향, 관광학연구 28(1) : 263-281
  4. 김대식, 1999, 지리정보시스템과 다기준평가법을 이용한 농촌중심마을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4) : 39-44
  5. 김대식, 구승모, 2004, 관광소득의 요인별 분포특성에 근거한 농촌마을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4) : 39-44
  6. 김대식 외 3인, 2005, 농촌관광기반의 지속가능한 마을정비 유형의 설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1) : 45-53
  7. 김대식, 정하우, 2005, 그린투어리즘 및 공공서비스기반의 지속가능한 농촌도로노선의 최적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1) : 1-8
  8. 김대식, 정하우, 2002, 농촌마을의 중심성 평가 모형의 개발 (I)-MCE법에 의한 모형의 개발-, 한국농공학회지 44(1) : 69-80
  9. 김대식, 정하우, 2003, 농촌마을계획 지원을 위한 통합 계획모의모형의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 43-51
  10. 김대식, 2003, 관광개의 체류형태를 고려한 마을정비 방향,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 논문집, 87-90
  11. 김범수 외 2인, 2001, 한국과 일본의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비교 연구, 관광연구 16(1) : 83-103
  12. 김현, 2005, 농촌관광의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농촌관광연구 12(1) : 51-72
  13. 김현, 이희찬, 2004, 농촌관광 수요모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19(2) : 132-146
  14. 노형진, 정한열, 2006, 한글 SPSS(기초에서 응용까지), 형설출판사
  15. 농림부 . 농업기반공사, 2003, 농공기술용어사전(한국농공학회 편수)
  16.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2, 농촌 . 농업관광 프로그램 개발 연구
  17. 류선무 외 5인, 2003, 그린투어리즘 이론과 실제, 경복대학 청송관광농업연구소
  18. 박금용, 2003, 그린투어리즘의 운영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경기도 여주군 상호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박덕병, 2005, 농촌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외국의 농촌개발정책, 농촌진흥청
  20. 박덕병 외 2인, 2004, 농촌관광 시장 세분화 연구, 관광연구 28(2) : 193-212
  21. 박덕병, 이혜현, 2005, 농촌관광 마을별 농촌관광 체험활동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상응분석을 중심으로, 농촌관광연구 12(1) : 141-156
  22. 양용석 외 2인, 2006, 친환경 수로정비에 따른 주민 만족도의 한.일 비교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발표 논문집, 85-93
  23. 엄대호 외 10인, 2004, 농촌체험마을의 사후평가 및 관리체계 방안 연구-'02-'04년도 지원된 사업을 중심으로,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4. 오내원, 김은순, 2001, 농외소득의 실태와 정책 방향, 농촌경제 24(2) : 103-118
  25. 유승우, 이희찬, 2005, 농촌관광수요 확대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유승우, 최동주, 2001, 일본 그린투어리즘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농촌경제, 47-61
  27. 이경희, 2004, 농촌관광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문화관광연구 6(1) : 333-343
  28. 이희찬, 2004, 농촌관광 참여 및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45(4) : 53-78
  29. 정건호 외 2인, 2004, 지속가능한 한국형 농촌관광의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6(1) : 85-104
  30. 정충영, 최이규, 2004,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31. 조대희, 2004, 그린투어리즘의 도시민 흡인 용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최수명, 황한철, 1997,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 시스템 구축(II)-AHP기법에 의한 자원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3(2) : 50-61
  33. 한경수 외 8인, 2005, 농외소득 향상을 위한 한계농지 개발모형 정립 및 실용화 방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34. 한경수, 1999, 농촌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5. 황대용 외 2인, 2003, 도시민의 농촌관광 인터넷사이트 이용실태 분석, 문화관광연구 5(2) : 329-344
  36. 황의식, 문한필, 2005, 농가 유형별 소득변동 분석, 농촌경제 28(4) : 1-17
  37. 홍종숙, 2003, 농촌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그린투어리즘의 경제성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Bramwell, A. and Lane, T., 1994, Special Issue on Rural Tourism and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 pp. 1-2 https://doi.org/10.1080/09669589409510679
  39. Hall, C. M., and Jenkins, J. M., 1996, Tourism and Public Policy, International Thomson Business Press
  40. Sarply, R. and Sharpley, J., 1997, Rural Tourism: An Introduction, London, UK: International Business Press
  41. Sirnth, S. L, J., 1988, Definning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15(2) : 179-190 https://doi.org/10.1016/0160-7383(88)90081-3
  42. http://www.maf.go.kr
  43. http://www.goodigood.com/sitedb/accounting/account20.htm
  44. http://www.greentour.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