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imary Triad Experience on Self-Esteem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삼인군 경험이 자아존중감 및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엄혜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가정학과) ;
  • 정혜정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부)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effect of the primary triad experiences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The primary triad experiences were composed of the parents' differentiation level of couple relationship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cluding family rule, triangulation and communicati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luded such subscales as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global satisfaction, affection communication and time togethe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82 college students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all components of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at family rule was negatively associated only with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Triangulation was negatively related with most components of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hile parent-child communi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me variables. Path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 of most variables of primary triad experiences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variables of the primary triad experience had direct influences on most components of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Self-esteem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marital education and counseling.

Keywords

References

  1. 권보연(2000). 대학신입생의 대인관계 문제유형과 그들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정혜, 채규만(1999).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I.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3. 김나리(2001).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상빈(1994). 가족의 부부관계와 자녀의 심리적인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소향(1994).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감정적 평가와 인지적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예정, 김득성(1993). 지속적인 이성교제에서의 갈등표출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1(2), 127-139
  8. 김예정, 김득성(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I). 대한가정학회지, 37(10), 27-42
  9. 김용미(1996a). 미혼대학생의 혼전 단계에서의 신체적 폭력의 경험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I.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87-197
  10. 김용미(1996b). 미혼대학생의 혼전 단계에서의 신체적 폭력의 경험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II. 이론검증과 유/무경험 집단의 비교. 원광대학교 논문집, 31(2), 1221-1223
  11. 김유숙(2002). 가족상담. 서울: 학지사
  12. 김은정(1997). 예비부부를 위한 관계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지(1996). 이성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교제중인 미혼남녀의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옥, 김형섭(1993). 강릉대 재학생들의 결혼관과 연애관에 관한 의식 조사. 강릉대 학생생활연구소, 30(2), 65-99
  15. 김주연(2002) 대학생의 애착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수준 및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혜선, 김영희(1983). 배우자 선택과 성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 107-125
  17. 남순현(2000). 가족의 정서체계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남순현, 한성열(2002).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33-49
  19. 남재수, 윤정륜(1974). 이성관에 대한 조사연구. 안동교육대학교 학생지도연구, 2, 3-31
  20. 박민자(2004). 미술치료를 활용한 Satir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의사소통향상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선미(2003). 미혼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부모와의 애착이 자녀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소춘(1999).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자아개념 및 학교폭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은경(1993). 애착유형이 자존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희성, 이진숙, 박초아, 박민자(1995). 미혼 남녀의 성행동 실태와 혼전 성에 대한 태도. 대한가정학회지, 33(6), 11-22
  25. 변은주(1996). 대학생의 건강한 이성교제를 위한 집단상담효과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설기문(1993). 우리나라 대학상담의 이론적 모형: 현황과 방향.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1, 25-51
  27. 성민선(1990). 한일 성심 여대생들의 직업과 결혼관 비교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회지, 30(2), 70-79
  28. 송성자, 정문자(1994). 경험적 가족치료: Satir 이론과 기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9. 어주경(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옥경희(1995).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 광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 2, 1-16
  31. 원영희(199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 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유소영(2000). 사랑요소의 지각된 불일치와 책임귀인양식에 다른 이성관계 만족도.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1996).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34. 유희정(1999). 비행청소년 및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행동특성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복동(2000).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수희(2004). 대학생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아존중감이 이성 파트너와의 갈등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영숙(1998). 이성교제 중 발생한 폭력. 대한가정학회지, 36(4), 49-61
  38. 이종원(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이차선(1998).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변인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이혜숙(1998).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전연진(2002). 삼세대 가족관계경험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전영주(1998). 삼세대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과 성인 자녀의 우울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 22-45
  43.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지각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정문자(2001). 연구와 임상에서 살펴 본 한국 가족문제와 관련변인. 한국가족치료학회지, 9(2), 1-34
  45. 정문자(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학지사
  46. 정혜정(2003).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 73-91
  47. 차승희(1993). 대학생의 이성관계 문제해결을 위한 집단상담 효과분석.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차정화, 전영주(2002). 이성교제 커플의 원가족 건강성과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39-57
  49. 한만열(2003). 이성교제 상태에 따른 청소년의 이성친구에 대한 애착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홍대식(1996). 한국 대학생의 사랑스타일과 이성상대 선택준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10(2), 81-11
  51. 홍대식(1998). 데이트 관계의 형성과 발전에 관련된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2), 199-226
  52. 홍대식(2000). 데이트관계의 만족과 몰입에 관련된 특징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223-262
  53. Anderson, S. A., & Sabatelli, R. M. (1992). The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 (DIF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20(1), 77-89
  54. Avnir, Y., & Shor, R. (1998). A systematic qualitative evaluation of levels of differentiation in families with children at risk.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79(5), 504-513 https://doi.org/10.1606/1044-3894.717
  55. Bartle-Haring, S., & Sabatelli, R. (1998). An intergenerationl examination of patterns of individual and family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903-911 https://doi.org/10.2307/353633
  56. Bartle, S. E., & Anderson, S. A. (1991). Similarity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levels of individuation. Adolescence, 26, 913-924
  57. Benson, M. J., Larson, J., Wilson, S. M., & Demo, D. H. (1993). Family of origin influences on late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663-672 https://doi.org/10.2307/353347
  58. Bray, J. H., Willimason, D. S., & Malone, P. E. (1984). Personal authority in the family system questionnaire manual. Unpublished document
  59. Block, J., & Robins, R. W. (1993). A longitudinal study of consistency and change in self-esteem from early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Child Development, 64, 909-923 https://doi.org/10.2307/1131226
  60. Cancian, F. M. (1985). Love and power i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In Skolnick, A. S., & Skolinick, J. H. (Ed.). Family in transition.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61. Carter, E. A., & McGoldrick, M. (1980). The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Press
  62. Chun, Y. J. (1996). Intergenerational dynamics in three-generation families: Adult's emotional ties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63.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64. Davies, P. T., &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https://doi.org/10.1037/0033-2909.116.3.387
  65.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66. Eshel, Y., Sharabany, R., & Friedman, U. (1998). Friends, lovers and spouses: Intimacy in young adults.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7, 41-57 https://doi.org/10.1111/j.2044-8309.1998.tb01156.x
  67. Fauber, R. L., Forehand, R., Thomas, A. M., & Wierson, M. (1990). A mediational model of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adjustment in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The role of disrupted parenting. Child Development, 61, 1112-1123 https://doi.org/10.2307/1130879
  68. Harrist, A. W., & Ainslie, R. C. (1998). Marital discord and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 interpersonal awareness as mediator. Journal of Family Issues, 19(2), 140-163 https://doi.org/10.1177/019251398019002002
  69. Hover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P., Cochran, S. W., & Fine, M. (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3), 287-297
  70. Jacobs, J. B. (1991). Virginia Satir's triad theory for couples therapy. In B. J. Brothers (Ed.). Virginia Satir: Foundational ideas. (pp. 43-58). New York: The Haworth Press
  71. Kelly, J. B. (2000). Children's adjustment in conflicted marriage and divorce: a decade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9(8), 963-973 https://doi.org/10.1097/00004583-200008000-00007
  72. Klemer, R. H. (1971). Self-esteem and college dating experience as factors in mate selection and material happines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 183-187 https://doi.org/10.2307/350164
  73. Larson, J. H., Taggart-Reedy, M., & Wilson, S. M. (2001). The effects of perceived dysfunctional family-of-origin rules on the dating relationships of young adult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4, 489-511
  74. Lim, M-C., & Jennings, G. H. (1996). Marital satisfaction of healthy differentiated and undifferentiated couples. Family Journal, 4(4), 308-315 https://doi.org/10.1177/1066480796044004
  75. Maslow, A.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and Row
  7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77. Rosenberg, M. (1981). The self-concept: Social product and social force. In M. Rogenberg and R. Turner (Eds.).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Basic Books
  78. Samet, N., & Kelly, E. W. (1987). The relationship of steady dating to self-esteem and sex role identity among adolescents. Adolescence, 22, 231-245
  79. Satir, V. (1988). The new peoplemaking. Mountain View,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80. Satir, V. (1993). Conjoint family therapy.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81. Satir, V., & Baldwin, M. (1983). Satir step by step: A guide to creating change in families.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82. Satir, V., Banmen, J., Gerber, J., & Gomori, M. (1991). 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83. Sharabany, R., Gershoni, R., & Hofman, J. E. (1981). Girlfriend, Boyfriend: Age and sex differences in intimate friendship. Developmental Psychology, 17(6), 800-808 https://doi.org/10.1037/0012-1649.17.6.800
  84. Sippola, L. K. (1999). Getting to know the 'other':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other-sex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4), 407-418 https://doi.org/10.1023/A:1021660823003
  85. Sternberg, K. J. (1993).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dep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44-52 https://doi.org/10.1037/0012-1649.29.1.44
  86. Stets, J. E., & Pirog-Good, M. A. (1987).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0(3), 237-246 https://doi.org/10.2307/2786824
  87. Wilcoxon, S. A., & Hovestadt, A. J. (1985). Perceived similarity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dyadic adjustment: A comparison across year of marriage. Family Therapy, 12, 16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