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in T Serotypes and emm Genotypes of Group A Streptococci Obtained from Invasive and Non-invasive Streptococcal Infections

침습적 및 비침습적 감염 환자에서 분리된 A군 연구균의 T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비교 연구

  • Hahn, Wonh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ji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Hansoek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Saju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 Sungh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eejoo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yungwo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한원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세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한석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사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성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희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이경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Purpose : Studying the serotypes and emm genotype of group A streptococci(GAS) hold a key role in the investigation of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resistance to antibiotics. We planed to find out the possible differences in serotypes and genotypes between the invasive and the non-invasive GAS infection. Methods : We obtained 39 isolates from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2004 with the diagnosis of invasive GAS infectious diseases in th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We sent the isolates to the WHO Collaboratory Center in University of Minnesota and analyzed T serotypes and emm genotypes.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non-invasive GAS infections in our hospital. Results : Compared this data with the results of 2003 to 2004, T2/28, T3, T5/27/44, T9 and NT were more prevalent. The 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9). The emm 3, emm 9, emm 18, emm 44 and emm provision type STG485 were more frequent genotypes compared with the study in 2003~2004, relatively. The emm provision type STG485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0). The incidence of T12 plus T4, known as erythromycin(EM) resistant serotypes, was as low as 17.9% in this study, compared with those of non-invasive strains.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EM-resistant strains is supposed not to be higher in invasive GAS infection. We could find out possible higher incidence of rheumatogenic strains in the invasive GAS infections. It seems to be important to have an effort on studying of serotyping and genotyping for the monitoring of strains and to know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목 적 : A군 연구균은 인두염, 성홍열과 같은 경증감염으로부터 심각한 치명률을 보이는 중증 침습적 감염의 원인균이 된다. 역학, 항생제 내성발생 등을 조사, 연구하는 데에 혈청형과 유전자형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침습적 질환에서 혈청형과 유전자형이 비침습적 질환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1~12월간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침습적 A군 연구균 질환으로 진단된 환자의 검체에서 39개의 균주를 동정,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WHO Collaboratory Center에 보내어 T혈청형 및 emm 유전자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1998~2002년 및 2003~2004년에 비침습적 질환에 대해 본 기관에서 연구하였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2003~2004년 비침습적 질환대상 연구결과와 비교해 T2/28, 3, 5/27/44, 9, NT형은 상대적으로 많았는데, NT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19). emm 유전자형은 emm 3, 9, 18, 44, STG485 형이 상대적으로 많았는데, STG485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00). 높은 EM 내성과 관련된 T12, 4는 17.9%에 불과하였으며, 이는 비침습적 질환대상 연구 결과인 47%, 47.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였다(P=0.002, P=0.000). 류마티스열의 발생과 재발에 관련하는 emm(M) 1, 3, 5, 6, 16, 18형은 41%로 비침습적 질환 연구결과인 26%(2003~2004)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새로운 emm 유전자형이 발견되었다. 결 론 : T혈청형 분석으로 추정한 EM 내성률은 침습적 질환군에서 더 높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emm 유전자형 결과 류마티스열의 발생과 재발 가능성이 더 높을 수도 있어 균주의 감시와 인두염의 철저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도 항생제 내성균 감시 및 새로운 형의 발견을 위해 혈청형 및 유전자형 분석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