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b Wall의 토압분포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f Crib Wall

  • 오세욱 (영재이엔씨(주)) ;
  • 권영철 (일본항만공항기술연구소 지반구조부 토질연구실) ;
  • 배우석 (청주대학교 이공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투고 : 2006.06.30
  • 심사 : 2006.08.31
  • 발행 : 2006.10.01

초록

Crib wall은 헤더와 스트레처를 사용하여 옹벽의 골조를 축조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공법의 일종이다. 이 공법에서는 부재의 교차에 의해 생긴 격자 안에 자갈로 채움을 실시하여 옹벽의 중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옹벽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며 경제적이다. 더불어, 옹벽의 배수 능력이 뛰어나며,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환경친화적인 장점도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Crib wall 시스템에서는 개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며 채움재의 자중이나 외부하중에 의해 채움재에 응력 재분포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일체식 옹벽과는 토압의 분포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rib wall의 토압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축소된 모형을 이용한 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토압 특성은 6개의 특정한 높이에서 계측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별 토압의 분포 형태를 예측하였다. 시험결과는 기존의 이론식 및 일체식 옹벽과 비교되었으며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Crib wall is one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s using headers and stretchers to establish the framework of the wall. In this method, grid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headers and stretchers are generally filled with the gravel to maintain the weight of the wall. Therefore,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 higher speed and much economically when compared wit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Furthermore, it has high drain capac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spects also have been pointed out because the possibility of the planting at the front of the wall. However, in the crib wall metho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individual headers and stretchers was generally recognized, and stress redistribution in the gravel filling was also observed when subjected to the external loading and self-weight of filling.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in the crib wall system differ from that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In this study, the surcharge tests using the scaled model crib wall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in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The earth pressure was measured in the six specified height of wall,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was analyzed. Furthermore, the earth pressure by computation or by the test using the concrete retaining wall was also considered to make comparis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