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Change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the Nakdong Estuary

  • 장성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 김기철 (동아대학교 토목해양공학부)
  • JANG SUNG-TAE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KI-CHEOL (Division of civil and Ocean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발행 : 2006.02.01

초록

낙동강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복잡한 순환 양상을 보이는 지역으로, 1987년에 준공된 하구둑의 건설로 지형적인 변화와 함께 여러 가지 해양 환경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하구둑 건설 전과 후의 특징을 보면, 건설 전에 비해 흐름이 약해졌고 조류가 흐름을 주도하던 혼합 기작이 담수의 방류가 주도하는 체계로 변하였다. 이러한 담수의 방류는 그 정도에 따라 낙동강 하구둑 하류부 담수의 거동과 혼합 특성을 변화시켰으며 해수 순환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 하류부의 유동 특성을 하구둑의 수문 개폐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The Nakdong Estuary is complex water system, where sea water and fresh water meet each other. It has undergone the significant change of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River Barrier in 1987. Prior to its construction, mixing and circulation processes in the Nakdong Estuary was dominated by tidal current. However, after the dam construction, those processes were greatly altered by the artificial control of the fresh river water discharge.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odgate of Nakdong River on the outflow behavior of estuarine water from the Nakdong Estuary is analyzed in detail.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청, 1961-2000년 기상월보
  2. 김영의, 1992. 낙동강 하구언 일대의 수문학적 조사. 인제대 환경 연구소 환경 연구노트 제1호, 77-86
  3. 류청로, 장선덕, 1979.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한국해양학회지, 14: 71-77
  4. 산업기지개발공사, 1985. '84 낙동강 하구 생태계조사
  5. 유홍선, 1982. The circulation and mixing process in the Nakdongpo Estuary.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6. 유홍선, 민병언, 신종상, 1984, 낙동강 하수의 혼합 및 순환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 해사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1: 1-9
  7. 장선덕, 유청로, 이문옥, 이재철, 1981.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한국해양학회지. 16(1): 31-37,
  8. 한건모, 김기철, 김재중, 1993. 명지녹산 해역 매립 후의 해수유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 7(1): 441-454
  9. 한국수자원공사, 1987. 낙동강 하구둑 운영관리 보고서. 1-67
  10. Garvine R. W., 1974. Physical features of the Connecticut River outflow during high discharge. J. Geophys. Res., 79: 831-846 https://doi.org/10.1029/JC079i006p00831
  11. Garvine R. W., 1975.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temperature in the Connecticut River estuary. J. Geophys. Res., 80: 1176-1183 https://doi.org/10.1029/JC080i009p01176
  12. Garvine R. W., 1977. Observations of the motion field of the Connecticut River plume. J. Geophys. Res., 82: 441-454 https://doi.org/10.1029/JC082i003p00441
  13. Kim, K.C., Kim, J.J., Kim, Y. E., Han, K. M., Choi, K.K. and Jang, S, T., 1996. Outflow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plume. J. Kor. Soc. Coast. Ocean Eng., 8(4): 305-313
  14. Yu, H. S. and Lee,J, 1993. A hydrodynamic solution for the lateral spreading of a river plume. J. Kor: Soc. Coast. Ocean Eng., 5(4): 302-306
  15. Yu, H. S. and Lee, J., Kang, H. J., Kang, S. R., Choi, K. S. and Kim, J. S., 1993. Lateral spreading of a river plume an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Nakdong estuary. J. Kor. Soc. Coast. Ocean Eng., 5(4): 296-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