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펄스형 고전압 전원에 의한 선전리 현상의 관측과 질소레이저의 동작 특성

Observation of the Preionization effect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Nitrogen Laser by a Pulse type high Voltage Power Supply

  • 이봉연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Lee, Bong-Yeon (Research Institute of Basic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2.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I자형과 U자형의 변압기를 각각 사용한 펄스형 고전압 전원에 의해 대기압에서 동작되는 파장 337.1 nm인 질소레이 저의 방전간극과 레이저 관에 각각 광섬유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나오는 빛을 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선전리 현상을 직접 관측하고 출력특성을 조사하였다. 레이저 출력이 안정되고 높아질수록 선전리 현상을 뚜렷이 관측할 수 있었고, 레이저 출력은 I자형 변압기보다는 U자형의 변압기를 사용하였을 때 높은 출력과 안정성을 얻었으며, 또한 펄스 방전의 예비동작 시간도 U자형이 1/3 정도 짧았다. U자형의 변압기를 사용하고 출력창의 반사율 $40\%$, 반복율 10 Hz, 레이저 관내에서 질소기체의 유동률이 4 ${\iota}$/min, 방전간극 내에서 질소기체의 유동율이 1500 cc/min, 방전간극 전극 거리 3.0 mm, 레이저 관 내 전극거리 5.0 mm 일 때, 안정성이 $2.7\%$$36{\mu}J$의 출력을 얻었다.

We constructed a TEA $N_2$ laser which consists of spark gap, pulse type high voltage power supply, Blumlein transmission line circuit, laser tube with Ernst electrode. We observed the self-preionization with an optical fiber in the spark gap and laser tube. The higher voltage power supplied to the Blumlein transmission line circuit, the better preionization was. An U-type transformer yielded better stability and output power than an I-type transformer. The discharge time after triggering a spark gap for the U-type transformer was also short. We obtained the stability of $2.7\%$ and output power of $36{\mu}J$ when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laser operation were spark gap distance of 6.0 mm, electrode distance in laser tube of 5.0 mm, $N_2$ gas flow rate in spark gap of 1500 cc/min, $N_2$ gas flow rate in laser tube of 4 ${\iota}$/min, output window reflectivity of $40\%$ and repetition rate of 10 Hz.

키워드

참고문헌

  1. J. I. Levatter and S. C. Lin, 'High-power generation from a parallel-plates-driven pulsed nitrogen laser,' Appl. Phys. Lett., vol. 25, pp. 703-705, 1974 https://doi.org/10.1063/1.1655368
  2. H. M. von Bergmann, A. J. Penderis, 'Miniaturized atmospheric pressure nitrogen laser,' J. Phys. E: Sci. Instrum., vol. 10, p. 602, 1997
  3. E. E. Bergmann, 'Compact TEA N$_2$ laser,' Rev. Sci, Instrum., 48, pp. 545-546, 1977 https://doi.org/10.1063/1.1135072
  4. A. Bojara, W. Gawlik, R. Grabski, and J. Zachorowski, 'Simple, highly stable nitrogen laser with preionization,' Rev. Sci. Instrum., vol. 55, pp. 166-168, 1984 https://doi.org/10.1063/1.1137722
  5. I. Santa, L. Kozma, B. Racz, and M. R. Gorbal, 'Highstability thyratron-switched TEA nitrogen laser,' J. Phys. E: Sci. Instrum., vol. 17, p. 368, 1984 https://doi.org/10.1088/0022-3735/17/5/011
  6. H. J. Kong and D. Y. Park, 'Edge autopreionization effect on power enhancement of a transversely excited atmospheric nitrogen laser,' J. Appl. Phy., vol. 58, pp. 3667-3668, 1985 https://doi.org/10.1063/1.335725
  7. 추한태, 'Blumlein 전송회로를 이용하는 선전리 효과가 질소레이저의 동작특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8. 양준묵, 추한태, 이봉연, 이승철, '선전리용 전송회로가 부착된 질소레이저의 제작과 그 동작특성,' 새물리. 제32권 2호, p. 194, 1992
  9. M. Geller, D. E. Altman, and T. A. De Temple, 'A Pulsed, Coaxial Transmission Line Gas Laser,' J. Appl. Phys., vol. 39, pp. 3639-3640, 1966
  10. A. W. Ali, A. C. Kolb, and A. D. Anderson, 'Theory of the pulsed molecular nitrogen laser,' Appl. Opt., 6s, p. 2115, 1989
  11. L. E. S. Mathias and J. T. Parker, 'Stimulated emission in the band spectrum of nitrogen,' Appl. Phys. Lett., vol. 3, pp. 16-18, 1963 https://doi.org/10.1063/1.1723557
  12. 양준묵, '고능률 질소레이저의 제작 및 실용화를 위한 최적 동작변수에 관한 연구,' 산학협력연구 결과보고서, 97-2-02-01-01-3, 한국과학재단, 2000
  13. Joseph T. Verdeyen, Laser Electronics, 3rd ed., (Prentice Hall Inc.,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