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meter Calibration of Car Following Models Using DGPS DATA

DGPS 수신장치를 활용한 차량추종 모형 파라미터 정산

  • 김은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도로시스템연구센터) ;
  • 이청원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용진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Car following model is a theory that examines changes of condition and interrelationship of acceleration deceleration. headway, velocity and so on closely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Posterior vehicle always follows the preceding vehicle. Car following mode) which is one of the research fields of microscopic traffic flow was first introduced in 1950s and was in active progress in 1960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data gathering the research depression was prominent for quite a while and then soon was able to tune back on track with development in global positioning system using satellite and generalization of computer use. Recently, there has been many research studies using reception materials of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Introducing GPS technology to traffic has made real time tracking of a vehicle position possible. Position information is sequential in terms of time and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everal vehicles in continuous driving is also practicable. Above research was focused on judging whether it is feasible to overcome the following model research by adopting the GPS reception device that was restrictively proceeded due to the limitation of data gathering. For practical judgment, we measured the accuracy and confidence level of the GPS reception devices material by carrying out a practical experiment. Car following model is also being applied in simulations of traffic flow analysis, but due to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parameters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it is our goal to produce an accurate calibration of car following model's parameters that is suitable in this domestic actuality.

미시교통류의 한 연구분야인 차량추종이론은 1950년대에 처음으로 제시되었고 1960년대에 활발히 진행되다가 자료수집의 한계로 인해 연구가 부진하다가 위성을 이용한 차량의 위치추적 기술의 발달과 컴퓨터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최근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s)의 수신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GPS 기술이 교통에 도입되면서 차량의 위치에 대한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게 되었다. 위치정보는 시간상으로 연속적일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차량의 연속주행에 대해서도 동시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현실자료를 기반으로 한 국내 교통류에 적합한 차량추종모델 파리미터를 정산하기 위하여 수집장치로서 DGPS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는 실험을 반복 수행하였고, DGPS를 활용한 분석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오차에 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며, DGPS 수신자료의 활용성을 판단하여 추가조사를 통하여 제한적이긴 하나 차량추종모델의 파라미터를 정산한 후 이 값을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최근 미시적 시뮬레이션의 도입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시뮬레이션에는 차량추종모델이 적용 되어있다. 파라미터 정산의 어려움으로 인해 외국의 Default 값을 수정 없이 사용하고 있는데 국내 운전행태가 외국의 경우와 다르므로 Default값을 사용하는 것은 분석의 문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험을 통해 수집된 DGPS 수신자료를 이용하여 제한적이나마 PARAMICS의 차량추종모델의 파라미터를 정산하는 것으로 현실에 맞는 파라미터 정산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인.최승석(2000),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차량추종모형의 정립(GM모형을 기반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47 -61
  2. 김재석.임채문.우용한(2003), GPS 수신자료를 이용한 추종차량의 민감도 영향요인 연구, 대한토목 학회지 제23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139- 145
  3. 김재석.이승준.우용한(2002), 통행차량에 대한 GPS 수신자료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 학회지 제5권 제4호, 한국지리정보학회, pp.75 -85
  4. 우용한(2000), 차량의 추종행태 분석을 위한 GPS 자료의 수집과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3권 제4호, 한국지리정보학회지, pp.11-12
  5. 이청원(2005), 교통류분석을 위한 GPS자료의 활 용, 대한토목학회지 제25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241-247
  6. Panwai, Di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eative Agent-Based Car Following Model, www.itslab.eng.uq.edu.au/ITSLab/Publicati ons/IVRI05.pdf
  7. Cassidy, Ahn, Verification of a simplified car-following theory ,www.path.berkeley.edu/ PWM2002/ PWM2002presentations/10a.pdf
  8. Wolshon, Hatipkarasulu(2000), Results of Car Following Analyses Using GPS, Journal of Trasportation Engineering
  9. Ranjitkar, Nakatsuki, Asano(2004), Performance Evaluation of Mciroscopic Traffic flow Models with test Track data, TRR 1876 of TRB
  10. Shekleton, A GPS Study of Car Following Theory, www.aatraffic.com/documents/CAITR2002_S imonShekletonPaper.PDF
  11. May(1990), Traffic Flow Fundamentals, pp.168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