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lacement of Point Detectors Based on Homogeneous Section for Travel Time Estimation in National Highway

일반국도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동질구간 기반 지점검지기 배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logic to determine lengths of the homogeneous sections effectively in order to provide dynamic travel time on real time base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First, considering real time traffic pattern fluctuation, lengths of the homogeneous sections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final homogeneous sections were determined. In order to determine lengths of the homogeneous sections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 the cluster analysis was used based on real time data.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ous section the case with detectors in all links and the case with detectors in homogeneous section for each time period are used. A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each cases showed similar estim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National Highway traffic management and the system to Provide a traffic information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study, when the homogeneous section decision model are used to the ITS project for National Highway, operation cost is expected to be cut by effectively establishing point detectors.

본 연구는 지점검지기의 효율적 배치기준인 동질구간 결정 로직을 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동질구간의 결정은 도로 및 운영조건과 실시간 교통패턴의 변동을 고려하며 시간대별 동질구간 및 최종 동질구간을 결정하였다 교통조건의 동질구간 결정은 실시간 자료에 기반한 군집분석을 이용하였다. 동질구간의 검증을 위해 모든 링크에 검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와 동질구간에 검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통행시간 추정력을 비교한 결과 동질구간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토교통관리 및 정보제공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질구간 결정 로직을 대규모 국도 ITS 구축사업에 적용할 경우 통행시간 추정력의 향상과 함께 지점검지기의 효율적 배치를 통한 구축 및 운영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현․임강원․이영인(2005), '일반국도의 지점 및 구간검지기 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35-146
  2. 김주현․도명식․정재은(2002), '국도 기능 분류를 위한 그룹핑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31-144
  3. 도명식․김성현․문학룡․김명수(2004), '국도구간의 동질성 결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 문집, 제24권 제4호, 대한토목학회, pp.523-533
  4. 백남철(2002), '베이지안 샘플링과 신경망 판별함 수를 이용한 교통량 패턴 그룹 기반의 AADT 추 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장진환(2004), '자동차량인식장치 자료 필터링 알 고리즘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건설교통부(200), 한국도로용량편람
  7. Francois Dion, Hesham Rakha, Estimating Spatial Travel Times using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Data, 2003 TRB Annual Meeting
  8. Stephen D. Clark, S. Grant-Muller, and Haibo Chen, Cleaning of Matched License Plate Data, TRR 1804
  9. Thomas, N. E.(1998), Multi-State and Multi- Sensor Incident Detection Systems for Arterial Stree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6. No. 5/6, pp.337-357 https://doi.org/10.1016/S0968-090X(99)00003-0
  10. Young-ihn LEE, Seungjae LEE, Shinhae LEE, Juungg-yu Chon(2004), Development of A Dynamic Route Guidance Algorithm Using Multi-Step Ahead Travel Time Prediction, Behavior in Networks(B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