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forensic and investigative science (대한수사과학회지)
- Volume 1 Issue 2
- /
- Pages.5-19
- /
- 2006
- /
- 1976-3921(pISSN)
Usefulness of Data Mining in Criminal Investigation
데이터 마이닝의 범죄수사 적용 가능성
- Kim, Joon-Woo (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 National Police Agency) ;
- Sohn, Joong-Kweon (Department of Statis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an (Department of Forensic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Data mining is an information extraction activity to discover hidden facts contained in databases. Using a combination of machine learning, statistical analysis, modeling techniques and database technology, data mining finds patterns and subtle relationships in data and infers rules that allow the prediction of future results. Typical applications include market segmentation, customer profiling, fraud detection, evaluation of retail promotions, and credit risk analysis. Law enforcement agencies deal with mass data to investigate the crime and its amount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the data by using computer. Now new challenge to discover knowledge in that data is confronted to us. It can be applied in criminal investigation to find offenders by analysis of complex and relational data structures and free texts using their criminal records or statement text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possibile application of data mining and its limitation in practical criminal investigation. Clustering of the criminal cases will be possible in habitual crimes such as fraud and burglary when using data mining to identify the crime pattern. Neural network modelling, one of tools in data mining, can be applied to differentiating suspect's photograph or handwriting with that of convict or criminal profiling. A case study of in practical insurance fraud showed that data mining was useful in organized crimes such as gang, terrorism and money laundering. But the products of data mining in criminal investigation should be cautious for evaluating because data mining just offer a clue instead of conclusion. The legal regulation is needed to control the abuse of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to protect personal privacy or human rights.
데이터 마이닝은 컴퓨터와 정보처리의 발전으로 각기 다른 차원에서 다량으로 수집되는 데이터 속에서 숨은 의미나 패턴을 발견하는 유용한 기법이다.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모형, 규칙 귀납, K-평균 군집화, 시각화 등의 데이터 마이닝 개별 기법들은 산재해 있는 데이터에서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분류함으로써 일반화된 개념을 정의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론함으로써 실제 생활에 적용 가능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현재 데이터 마이닝은 기업의 마케팅 분야, 금융기관의 고객 분석, 통신 회사의 고객 이탈 방지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우리가 접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늘어나는 것은 범죄 수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현상이다. 범죄와 범죄자에 대한 데이터는 축적되어 가지만 정작 개별 사안에 있어서는 중요한 데이터가 접근조차 되지 않고 있으며, 많은 데이터 속에서 이것이 내포하고 있는 숨은 의미를 지나치게 되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사례 적용을 통해 데이터 마이닝의 범죄 수사 적용 가능성과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제 사건으로 남는 경우가 많은 절도나 사기 같은 습관적 상습 범죄의 경우 데이터 마이닝의 분류, 군집화 기능을 활용 한다면 향후 여죄 추적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특히 다양한 문제에 적용 가능하고, 잡음에 대한 견고성이 있음에도 예측의 정확성을 지니고 있는 신경망 모형의 경우 패턴 인식을 통하여 범죄자 프로파일링이나 화상 자료 대비 시스템 구축에 충분히 활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보험 사기 사례 적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약, 테러와 같은 조직적 범죄수사나 자금세탁과 같은 금융 추적 수사의 경우 해당 자료의 방대함과 모호성으로 인해 수사를 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이러한 데이터 마이닝 가시화 기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효율적인 수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데이터 마이닝은 예측 모델이므로 오류를 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사 기관의 데이터 마이닝 접근은 조심스러워야 하며, 정보 독점화 현상과 개인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에서 각 수사기관은 해당 법률에 정한 범위 내에서 해당 사건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측면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 수사기관별로는 자신의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해 다차원 처리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 마이닝이 적용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직은 논의의 초기 단계이므로 효과가 크게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제시한 문제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진다면 인권중심, 증거중심의 수사 개념을 바탕으로 적법절차에 의한 수사 활동을 요구받는 시대에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을 것이며, 수사의 과학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