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ular IP 네트워크에서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성능 개선

An Enhanced Indirect Handoff for Cellular IP Network

  • 정원수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 윤찬영 (계원조형예술대학 임베디드소프트웨어) ;
  • 오영환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발행 : 2006.01.01

초록

현재 유${\cdot}$무선 통합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작업이 진행 중이며 IP 이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Mobile IP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Mobile IP는 셀룰러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 잦은 핸드오프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이 제안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 방식으로 Cellular IP, HAWAII, Hierarchical Mobile IP 등이 있다. Cellular IP는 일정 지역 내에서 seamless 한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Cellular IP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방식은 핸드오프가 발생할 경우 새로운 영역의 BS이 핸드오프를 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핸드오프 인식과정에서 패킷 유실 및 중복이 발생하여 UDP 및 TCP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Cellular IP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방식을 개선한 핸드오프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한 시그널링 과정과 버퍼링 과정을 사용하였다. 새로운 영역의 BS에게 핸드오프 사실을 알리기 위해서 게이트웨이까지 전송되는 핸드오프 요청 패킷을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처리함으로서 불필요한 시그널링 트래픽을 감소 시켰다.

Currently, there are many efforts underway to provide Internet service on integrated wireless and wired networks. Supporting IP mobility is one of the major issues to construct IP based wireless network. Mobile IP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IP Mobility problem. But, in processing frequent handoffs in cellular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Micro mobility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Micro mobility protocols proposed the Cellular IP, HAWII, and Hierarchical Mobile IP. Cellular IP attracts special attention for it's seamless mobility support in limited geographical areas. New BS must be known to occur begging of handoff in Cellular IP indirect handoff. Therefore during perceiving of hanoff, packet loss or packet duplication still can occur in Cellular IP indirect handoff, which results in the degradation of UDP and TCP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enhanced indirect handoff scheme for Cellular IP. Proposed handoff scheme is using a crossover node to minimize the signalling procedure and using a buffering to minimize the packet loss or packet dupl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James D. Soloman, Mobile IP: The Internet Unplugge, 1997
  2. E. Gustafasson, A. Jonsson, and C. Perkins, 'Mobile IPv4 Regional Registration,' IETF Internet Draft, , October, 2002
  3. Charles Perkins editor, 'IP Mobility Support', Internet RFC 2002, Work in Progress 1996
  4. Andrew T. Campbell, Javier Gomez, Sanghyo Kim, and Chieh-yih Wan, Columbia University, Comparison of IP Micromobility Ptotocol, December, 2001
  5. A. Campbell et al, 'Cellular IP', Internet Draft, draft-ietf-mobile-cellularip-00.txt, October 1999
  6. Gronbaek, I. Cellular IP: overview and enhancements. Project I paper, 8. March 1996
  7. Andra's Gergely Valko', Design and Analysis of Cellular Mobile Data Networks, 1999
  8. Mona Ghassemian, Evaluation of Different Handoff Schemes for Cellular IP, 2001
  9. Suraj Jaiswal, Handoff Mechanism in Cellular IP: Enhancement into the Indirect Handoff Mechanism
  10. R. Ramjee et al, 'HAWAII: a Domainbased Approach for Supporting Mobility in Wide-area Wireless Networks'
  11. Univ. of Columbia Micro-mobility Home Page. URL:http://comet.columbia.edu/ micromobility/
  12. Univ. of Columbia Cellular IP Home Page. URL:http://comet.columbia.edu/cellula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