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자연공원의 중요도 평가

An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Urban Natural Parks

  • 심준영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김유일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Shim Joon-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Yoo-Il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발행 : 2006.02.01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factors park users value in urban natural parte and to find ways to elevate user satisfaction for the creation and usage of an urban natural park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two methods: the descriptive method of researching publications and related scholastic writings, and the empirical study method including a survey of present condition and interviews with users. 'Breathing fresh air' and 'cleanliness' were the most important items and play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landscape facilities were of lower orders of importance. This suggests that the 'sense of nature' is more important than functional facilities in urban natural parte. The importance of urban natural parks and the satisfaction visitors felt in them were measured, with mean results of 5.86 and 3.88, respectively, in terms of living surroundings. The impotance rating i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rating.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ix factors: benefits sought facilities for use, pleasant use, safety, accessibility, and managemen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only one positively correlated factor: benefits sought, suggesting that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rban natural Parte through the benefits they gain in them and the satisfaction they find in urban parte depends on utilizing facilities. Therefore, in urban natural parks, people will find greater satisfaction through pursuit of the benefits they are seeking; improvements to park facilities should address the benefits that park users are see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기(1987) 사회복지지표의 설정 및 가치판단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2(4): 1-16
  2. 김성일(1991) 자연휴양지 내의 환경오염행동에 대한 이해. 한국임학회지 80(1): 20-31
  3. 박석희(1999) 국립공원탐방자의 신기성 추구정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원휴양학회지 1(2): 161-174
  4. 박성용, 김광식(2003) 신도시 주민의 공원이용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12(2): 3-35
  5. 박승범(1990) 이용자 만족에 기초한 도시공원녹지개발의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부산시 태종대 유원지에 관한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박청인(2001) 국립공원 탐방객의 등산로 선택모형. 한국조경학회지 29(1): 11-21
  7. 백재봉(1985) 도시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오정학, 김유일(2001) 중요도-성취도분석에 의한 주제공원 계획요소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4): 34-43
  9. 우정임(1990) 도시자연공원의 이용실태와 만족유형에 관한 연구; 대구시 팔공산 도립공원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윤일영(2003) 도시자연공원 이용자 특성에 따른 공원도입시설에 관한 연구- 안성시 비봉산 자연공원 사례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시영, 허준(2004)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성취도 분석-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3): 114-125
  12. 임현주(2003)도시공원의 서버스 평가-도시자연공원을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장병문, 배민기(2002) 자연공원의 분위기가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0(1): 29-43
  14. 정영한(1994) 도시근린공원의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 목동 파리공원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세환(1993) 태도모형에 의한 도시환경평가연구: 경주시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한상열, 최관, 이주희(2000) 산악형 국립공원의 방문객 동기요인과 유인요인의 검정. 한국임학회지 89(3): 356-367
  17. Martilla, J. A. and J. C. James(1977) Irn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18. Maslow, A. H.(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 Harper Collins Publishers
  19. Pepper, S. C.(1958) The Source of Value. 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