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surements of Trimethylamine (TMA) in air by Tedlar bag sampling and SPME analysis

환경대기 중 Trimethylamine (TMA)의 측정: Tedlar bag 방식의 채취와 SPME 분석법의 특성 연구

  • Kim, K.H.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Hyum, S.H.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Im, M.S.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현성혁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임문순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Received : 2005.12.26
  • Accepted : 2006.01.16
  • Published : 2006.02.27

Abstract

Trimethylamine (TMA) is one of the difficult odorous compound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Although sulfuric acid absorption and/or sulfuric acid impregnated filter method are commonly recommended for its sampling, these methods also suffer from difficulties involved in sample treatment and operational procedures. Hence, as an ancillary approach to measure TMA, we investigated the combination of bag sampling and SPME analysis for TMA measurements. For the purpose of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1) temporal variability of standard storage, 2) bag loss effect of TMS, and 3) TMA loss due to repetitive analysis of an identical bag sample. According to our storage test up to 7 or 20 dyas, TMA loss were found to occur up to 40 to 50% within relatively short period of up to 48 hrs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ranges. When the tests were made for bag loss by transferring TMA standards across different size bags,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extent of bag loss are not significant with 5 to 20% loss rate. Finally, the TMA sorptive loss via its exposure to SPME fiber was generally estimated to run from 2 to 3%.

Trimethylamine(이하 TMA)은 물질특성상 시료의 채취 및 분석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TMA의 채취방법으로 황산용액 흡수법이나 황산여과지 방법을 추천하고있다. 이들 방법은 아직까지 운용상 어려움과 분석시 숙련도를 요구한다. 본문에서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Tedlar bag에 기초한 채취 및 SPME 를 이용한 분석기법의 특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Tedlar bag은 시료의 채취 및 보관과 관련한 불안정성, 분석시 재현성 등에 대해 일부 문제점들이 지적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여러 가지 기준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가지 관점에서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1) Tedlar bag에 TMA 시료를 보존할 때의 경시 변화, (2) Tedlar bag의 표면에 의한 TMA의 흡착 손실 정도, (3) SPME를 이용한 반복 분석시 파이버에 의한 시료의 흡착손실 등을 조사하였다. 최대 20일까지를 기준으로 경시 변화의 경향성을 조사한 결과, 48시간 까지 저농도에서 40~50% 정도로 시료의 감소가 일어났다. 그리고 두 가지 농도대에서 Tedlar bag 내부의 표면흡착에 의한 손실 여부를 평가한 결과, 저농도에서 약 20%, 고농도에서는 5% 이내의 손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Tedlar bag의 시료를 SPME로 반복분석한 결과, SPME fiber를 반복사용할 때 마다 백내부의 시료가 매회 2-3% 수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Y.-C. Chien, S.-N. Uang, C-T Kuo, T-S Shih and J F Jen, Analytica Chimica Acta, 419, 73 (2000) https://doi.org/10.1016/S0003-2670(00)00973-9
  2. M. T. Veciana-Nogues, M. S. Albala-Hurtado, M. Izquierdo-Pulido and M. C. Vidal-Carou, Food Chemistry, 57(4), 569-573 (1996) https://doi.org/10.1016/S0308-8146(96)00031-3
  3. A. E. Goulas, and M. G. Kontominas, Food Chemistry 93(3), 511-520 (2005)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4.09.040
  4. Y. Nagata and N. Takeuchi, Bulletin of Japan Environmental Sanitation Center, 7, 75-86 (1980)
  5. Y. Nagata and N. Takeuchi, Bulletin of Japan Environmental Sanitation Center, 17, 77-89 (1990)
  6. 박종호, 생활폐기물 매립장의 악취 분석 및 배출 특성 연구, 동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7. OSHA Sampling & analytical methods,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Partially Validated Method #2060(http://www.osha.gov/dts/sltc/methods/partial/pv2060/2060.html) (1993)
  8. K.-H. Kim, Environ. Sci. & Technol., 39(17), 6765-6769 (2005) https://doi.org/10.1021/es049283b
  9. K.-H. Kim, Y.-J. Choi, E.-C. Jeon and Y. Sunwoo, Atmospheric Environment, 39(6), 1103-1112 (2005)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9.056
  10. A. Bene, A. Hayman, E. Reynard, J.L. Luisier and J.C. Villettaz, Sensors and Actuators B, 72, 204-207 (2001) https://doi.org/10.1016/S0925-4005(00)00652-3
  11. M. Visan and W.J. Parker, Water Research 38, 3800-3808 (2004) https://doi.org/10.1016/j.watres.2004.0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