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bstraction of Forest Fire Damage Area using Factor Analysis from the Satellite Image Data

위성영상 자료에서 요인분석에 의한 산불 피해 지역 추출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교통공학부) ;
  • 이석군 (영남건설기술교육원) ;
  • 김동희 (강릉영동대학 토목건설과)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When investigating the damage of a forest fire, quite a few are depending on the naked eye observation. However, if the damage spreads to another area, it is easy to use the satellite images because it is hard to reach all the damaged areas on foot. From this research, we did a 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after fire using satellite image data to classify the damage on first and seco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more easier to classify the river's plants and ridges between rice fields that were in the forest fire damage area in the second observation then the first observation. Also, we could classify the area by areas that were damaged more or less using the second factor analysis. To verify this, we used the forest fire images collected from the satellite images and the actual survey data collected from spectral radiometer to see if these two datawere correlated and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y were highly involved.

산불의 피해를 조사함에 있어서 현재 상당수의 조사가 육안 관측에 의존하고 있으나, 광범위한 면적에 걸쳐 피해가 확대되고, 발생 직후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서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산불 피해 조사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 직후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통계적 해석에 의해 산불 피해 정도를 분류하고자 하며, 1차와 2차에 걸쳐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요인 분석에서는 분류하기 어려웠던 산불 발생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하천의 수초, 논두렁 등을 2차 요인분석에 의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1차 요인분석으로 분류된 영역들에 대하여 2차 요인분석을 하여 산불 피해가 경미한 지역과 강한 지역을 각각 분류 할 수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에서 얻은 산불 피해 영상과 분광반사계를 이용하여 얻은 실측 자료와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산불 피해 정도를 분류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