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Major Deciduous Tree Species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I)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특성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분포(I)

  • Um, Tae Wo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angji University) ;
  • Lee, Don Koo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엄태원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산림과학과)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5.12.12
  • Accepted : 2006.01.03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ons of major hardwood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natural hardwood forest at Mt. Joongwang, Pyongchang-gun, Gangwon-do which belongs to mid-northern part of the temperate forest. Acer pictum var. mono, Acer manshuricum and Quercus mongolica were affected by elevation, whil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were affected by the change of slope. Importance values of A. pictum, Betula costata, Ulmus laciniata and Cornus controversa in valley were 13.41%, 5.68% and 3.29%,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in any other topography. Species diversity of valley was the highest with 0.98. Ratio of A. pictum and Q. mongolica in dominant species were 24% and 14%, respectively in valley, while were 19% and 23% in slop. Q. mongolica ratio in ridgeline was higher than any other species. Importance values of A. pictum increased continuously until elevation 1,200 m. importance values of F. rhynchophylla was 6.6% which was the highest value found on elevation 800 m. Distributions of major hardwood spec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levation. The ratio of Q. mongolica and A. pictum were 6.4%~17.5% and 6.0%~10.7%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ratio. Species diversit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elevation.

온대 중북부림에 속하는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일대(1,321 ha)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지형 요인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거제수나무, 난티나무, 느릅나무, 다릅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 음나무, 층층나무, 피나무)의 분포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종과 지형 특성과의 관계에서 해발고에 따라 영향을 받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이었으며 경사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수종은 느릅나무, 물푸레나무로 나타났다. 지형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중요치 변화에서는 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난티나무, 층층나무의 계곡부위 중요치 값이 각각 13.4%, 5.7%, 3.3%로 다른 지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치 값을 나타냈다. 계곡부위에서의 종다양도는 0.98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수종 구성을 지형별로 비교한 결과 계곡지역에 출현하는 주요 우점종은 고로쇠나무(24%), 신갈나무(14%)의 순이었고, 능선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3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사면지역에 출현하는 주요 우점종의 비율은 신갈나무(23%), 고로쇠나무(1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중요치 변화에서 고로쇠나무는 해발 1,200m(11.5%)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물푸레나무는 해발 800m 부근(6.6%)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증가할수록 중요치 값(7.2%~31.9%)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해발고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분포 비율은 해발고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수종은 신갈나무(6%~18%)와 고로쇠나무(6%~11%)였다. 해발고에 따른 종다양도의 변화(700 m : 0.81, 1,300 m : 0.90)는 해발고가 증가하면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기, 김지홍, 김광택, 양희문. 2000. 점봉산일대 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I).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 16:93-104
  2. 권기원. 2002. 산림자원의 다목적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농업 R&D 자원의 조직화와 분야별 경쟁력 제고. 2002년 농업과학 심포지엄. pp. 393-424
  3. 김갑태, 엄태원, 추갑철. 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4. 김광택. 2002.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분류별 생태적 구종 및 동태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9p
  5. 김세현. 1998.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의 생태와 우량개체 선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4pp
  6. 김지홍, 양희문, 김광택. 1999. 천연활엽수림의 세가지 조림작업종에 따른 천연갱신 양상. 한국임학회지 88(2): 169-178
  7. 박인협, 문광선, 류석봉. 1995. 주왕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응용생태연구 8(2): 154-159
  8. 박인협, 문광선, 최영철. 1994. 덕유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81-186
  9. 박인협, 문광선. 1996.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lV)-오대산국립공원지역 젓나무-활엽수 혼효림군집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환경생태학회지 9(2): 197-201
  10.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 1989. 가양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11. 박인협, 최영철, 조우. 1991. 지리산국립공원 화엄사계곡 및 피아골계곡의 산림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5(1): 42-53
  12. 산림청. 1999. 국유림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 보고서(X). 500pp
  13. 신만용, 임종수, 이돈구. 2001. 강원도 평창지역 천연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임분 구조와 경쟁관계의 구명. 한국임학회지 90(3): 295-305
  14. 신만용, 임종수, 이돈구. 2002. 천연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임분구조와 경쟁관계를 이용한 친환경적 산립관리 방안. 한국임학회지 91(6): 722-732
  15. 신수철, 김창호, 박교수. 1993. 소백산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연습림논문집 3: 36-52
  16. 이원섭, 김지홍, 김광택. 2000.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천이 경향 분석. 한국임학회지 89(5): 655-665
  17. Agnew, A.D.Q. 1961. The ecology of Juncus effusus L. in North Wales. Journal of Ecology 49: 83-102 https://doi.org/10.2307/2257425
  18.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8 https://doi.org/10.2307/1931725
  19. Dale, G.B. 1998. Forest plant diversity at local and landscape scale in the Cascade Mountains of southwestern Washingt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9: 323-341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266-7
  20. Dejong, J.M. 1975. A comparison of three diversity indices based on their comparion of richness and evenness. Oikos 26: 222-227 https://doi.org/10.2307/3543712
  21. Host, G.E., Pregitzer, K.S. Ramm, C. W. and Hart, J.B. 1987. Landform-mediated differences in successional pathways among upland forest ecosystem in northwestern lower michigan. Forest Science 33: 445-447
  22. Kent, M. and Coker, P.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3. Magurran A.E. 1988. Ecological diversity and it measurement. Crom Helm Limited. London. 179pp
  24. Rowe, J.S. 1984. Forestland classification: Limitation of the use of vegetation. p276. in Forestland Classification : Experiences probles. Perspectives. J. Bockheim(ed). Proc. Symp. Univ., Wisconsin
  25. Shannon, C. 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cience 185: 27-39 https://doi.org/10.1126/science.185.4145.27
  2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27. Suh, M.H. and Lee, D.K. 1998. Stand structure and regener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6: 27-34 https://doi.org/10.1016/S0378-1127(97)00236-3
  28. Washington, H.G. 1984. Diversity, biotic and similarity indices: a review with special relevance to aquatic ecosystem. Water Research 18: 653-694 https://doi.org/10.1016/0043-1354(84)90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