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Pyungchang and Jecheon Areas

평창 및 제천 지역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연간 순생산량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권기철 (국립산림과학원)
  • Received : 2006.02.20
  • Accepted : 2006.04.05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between 60 to 70-year-old Quercus mongolica stand facing northern and southern aspect in Mt. Joongwang (1000 m from sea level), Pyungchang and 35-year-old Q. mongolica stand in Mt. Wolak (300m from sea level), Jechon. The total biomass was 252.9 ton/ha in northern aspect and 212.2 ton/ha in southern aspect of Mt. Joongwang while 198.7 ton/ha in northern aspect of Mt. Wolak. Annual net production was 17.3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14.2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Joongwang while 21.2 ton/halyr in Mt. Wolak. Total biomass, especially leaf and branch biomass in north slope was greater than those in south slope of Mt. Joongwang. Leaf area index (LAI) of Q. mongolica stand was 11.17 in Mt. Wolak while 5.77 in northern aspect and 3.97 in southern aspect of Mt. Joongwang, and the net assimilation rate (NAR) was 2.60 kg/kg/yr, 4.26 kg/kg/yr, 6.06 kg/kg/yr in same order.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60~70년생 신갈나무림과 충북 제천 월악산 지역 35년생 신갈나무림에서 사면과 지역에 따른 바이오매스와 연간 순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강원 중왕산 해발 1000m 지역에 있는 60~70년생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는 북사면에서 252.9 ton/ha (지상부 212.2 ton/ha), 남사면에서 212.3 ton/ha (지상부 177.4 ton/ha)이며, 충북 월악산 해발 300m 북사면 지역의 35년생 신갈나무림은 198.7 ton/ha (지상부 157.3 ton/ha)로 추정되었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중왕산 북사면 지역 17.3 ton/ha/yr (지상부 14.5 ton/ha/yr), 남사면 지역 14.2 ton/ha/yr (지상부 11.9 ton/ha/yr), 윌악산 지역 21.2 ton/ha/yr (지상부 16.8 ton/ha/yr)로 추정되어, 중왕산 지역 북사면에서 남사면보다 바이오매스와 연간 순생산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엽면적 지수의 경우 중왕산 지역 북사면 (5.77)이 남사면(3.97)보다 더 많으며, 월악산 35년생 신갈나무림은 중왕산 지역보다 잎의 중량이 더 많고 엽면적 지수도 11.17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잎의 순동화율은 중왕산 해발 1000m 북사면 지역 4.26kg/kg/yr, 남사면 지역 6.06 kg/kg/yr, 월악산 지역 2.60 kg/kg/yr으로 나타나, 중왕산 남사면 지역이 가장 높고 월악산 지역이 가장 낮아 중왕산 지역에서 잎의 생산효율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산림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발효열교환장치 개발

Supported by : 농림부

References

  1. 권기철. 2006.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탄소 고정량 및 에너지 고정 효율 -위도, 해발고, 사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126pp
  2. 김갑덕, 김태욱, 이경재, 김준선. 1985. 아까시나무조림지의 물질생산량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9: 60-68
  3.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원광대학교 출판국. 511pp
  4. 김태욱, 이경재, 박인협. 1982. 환경오염이 오동나무 인공림의 물질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8: 8-16
  5. 대한민국 농림부. 1971. 농림통계년보 507pp
  6. 박관수. 1999. 충주지역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및 토양 중 탄소 고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8(1): 93-100
  7. 박관수. 2003. 광양, 평창, 영동 지역 신갈나무 임분의 현존생물량 및 순생산량. 한국임학회지 92(6): 567-574
  8. 박인협, 서영권, 김동엽, 손요환, 이명종, 진현오. 2003. 강원도 춘천지역 신갈나무 임분과 굴참나무 임분의 물질생산. 한국임학회지 92(1): 52-57
  9. 손석용, 권기철, 정택상. 2002.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신갈나무림의 생산구조와 생산성. 임산에너지 21(1): 76-82
  10. 송칠영, 이수욱. 1996.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443-452
  11. 송칠영, 장관순, 박관수, 이승우. 1997.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의 탄소 고정량 분석. 한국임학회지 86(1): 35-45
  12. 이경재, 박인협. 1987. 경기도 광주지방 22년생 잣나무 및 신갈나무림의 물질생산량과 무기영양물분포. 임산에너지 7(1): 11-21
  13. 이돈구, 김지홍, 조재창, 차동호. 1990.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III)-제2장 생태연구 편. 과학기술처. 449pp
  14. 中井猛之進. 1976. 朝鮮森林植物編. 國書刊行會. 1(3): 25
  15. Burgess, R.L. 1981. Physiognomy and phytosociology of the international woodland research sites. pages 1-35 in D.E. Reichle(ed). Dynamic Properties of Forest Ecology.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6.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Univ. of Wien, Austria. 314pp
  17. Kim, J.W. and Yuri 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4): 391-413
  18. Han, S.S., S.H. Kim and J.W. Yun. 1982.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korean white pine forest (II)-Structure and annual increment of primary production in plantation. Res. Bull. Exp. For., Kangweon Nat. Univ. 2: 27-33
  19. Murayama, I. and T. Satoo. 1953. Estimation of amount of foliage of tree and stand. I. Bull. Gov. For. Exp. Sta. Tokyo 65: 1-10
  20. Ovington, J.D. 1957. Dry-matter production by Pinus sylvestris L. Ann. Bot. N.S. 21: 287-314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ob.a083565
  21. Ovington, J.D. 1962. Quantitative Ecology and the Woodland Ecosystem Concept. Pages 103-192 in J.B. Cragg(ed).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vol.1. Academic Press
  22. Schwappach, A. 1912. Ertragstafeln der Wichtigeren Holzarten, Neudamn. 83pp
  23. Suganuma, H., Y. Abe, M. Taniguchi, H. Tanouchi, H. Utsugi, T. Kojima, and K. Yamada. 2006. Stand biomass estimation method by canopy coverage for application to remote sensing in an arid area of Western Australia. For. Ecol. Manage. 222: 75-87 https://doi.org/10.1016/j.foreco.2005.10.014
  24. U.S. Department of Energy. 1986. The National Energy Policy Plan Projections to 2010 (NEPP-5). DOE/PE-0029/3. U.S. Gov. Print. Off
  25. Waters, W.T. and J.M. Christie. 1958. Provisional yield tables for oak and beech in Great Britain. For. Rec. 36, 31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