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Shape Embodiment of Dam using the 3D Laser Scanning System

3차원 레이저 스케닝 시스템을 이용한 댐체의 3차원 형상구현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ere is an inseparable relation between human race and engineering work. As world developed into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a diversity of large structures is being built up correspondently to limited topographical circumstance. Though large structures are national establishments which provide us with convenience of life, there are some disastrous possibilities which were never predicted such as ground subsidence and degrad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analyze the volume of total metamorphosis with the relativ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which is now used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re is structural metamorphosis within a permissible range of design or not. In this research with an object of 13-year-old earthen dam, through generating point-cloud which has 3D spatial coordinates(x, y, z) of this dam by means of 3D Laser Scanning, we can get real configuration data of slanting surface of this dam with this method of getting a number of 3D spatial coordinates(x, y, z). It gives 3D spatial model to us and we can get various information of this dam such as the distance of slanting surface of dam, dimensions and cubic volume. It can be made full use of as important source material of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works to detect previously the bulging of the dam through this research.

인류의 문명과 토목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고도의 산업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제한된 지형적인 여건에 따라 다양한 대형 구조물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구조물은 인간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국가 시설이지만 침하 붕괴 등 예상하지 못한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상대적 변위측정 시스템은 전체적인 변형량을 해석하기 어려운 실태이며 설계 허용 범위내에서 구조물의 변형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약13년 된 필댐을 대상체로 하여 3D Laser Scanning을 이용하여 흙댐의 3차원 공간좌표를 가지는 측점군(point-cloud)을 생성하여 대상체 표면상의 수많은 3차원 공간좌표(x,y,z)를 얻는 방법으로서 실제 댐 사면과 동일한 사면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은 3차원 공간상의 모델링이 형성되며, 이 자료로부터 댐 사면의 거리, 면적과 체적 등을 측정하여 댐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댐체의 배부름(bulging)현상을 미연에 발견하여 유지관리의 중요 자료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업기반공사. 2005, 기천저수지 정밀안정진단보고서
  2. 박운용. 2004, 토목시공학II, 형설출판사, pp.311-367
  3. 송연경. 2004, Direct Georeferencing에 의한 LiDAR 자료와 CCD 영상의 융합과 적용기법, 동아대학교, pp.33 박사학위논문
  4. 장상규, 김진수, 신상철, 박운용. 2001, GPS에 의한 댐 변형 모니터 링의 변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 19권 제 3호, pp.237-244
  5. 이상윤. 2001, TS측량을 이용한 댐의 외적 거동분석,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윤부열, 박운용, 장상규, 정창식. 2005, 고밀도 레이저 측량을 이용한 터널의 천단 및 내공변위 관측,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5162-5166
  7. Balzani, M., Pellegrinelli, A., Perfetti, N., Uccelli, F., 2001:A terrestrial 3D laser scanner: Accuracy tests
  8. Boehler, W., Heinz, G. and Marbs, A., 2002, The potential of non-contact close range laser scanners for cultural heritage recording, Surveying, 28, 289-295
  9. Blais, F., Beraldin, J. A. and EI-Hakim, S.F., 2000, Range Error Analysis of an Integrated Time-of-Flight, Triangulation, and Photogrammetry 3D Laser Scanning System
  10. Proc. 18th Int. Symp. CIPA 2001, pp.445-453
  11. Lee, K., 1999, Principles of CAD/CAM/CAE systems, Addison Wesley Longman, Inc., pp445
  12. www.RIEG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