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일부지역 성인의 건강생활양식 유형연구

Health Lifestyle Patterns of Seoul Adults

  • 발행 : 2006.09.30

초록

우리나라 서울 일부지역 20세 이상 성인 2,775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식습관, 운동량을 기초로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양식이 6개의 유형, 즉 소극적건강행위군, 적극적건강추구군, 흡연군, 음주군, 건강유해행위군, 흡연-음주군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소극적 건강행위군은 전체 대상의 48.3%를 차지하며, 흡연과 음주는 거의 하지 않지만, 식습관과 운동은 평균보다 낮다. 여자가 많으며, 젊은 연령이 많다. 적극적건강추구군은 전체 대상의 24.8%로 흡연, 음주, 식습관, 운동 모두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보이는 군이다. 여자, 나이가 많을수록, 유배우자, 수입이 높은 사람에서 많다. 흡연군은 전체대상의 13.5%로 흡연량은 하루평균 20개비 정도이며, 음주와 식습관은 평균정도이고, 운동은 별로하지 않는다. 남자와 젊은 사람에서 많다. 음주군은 전체 대상의 8.4%로 술을 많이 마시면서(월평균 17.7일) 식습관이 좋은 편이고, 흡연과 운동은 평균정도이다. 남자가 많으며, 나이 많은 사람에서 많다. 건강유해행위군은 전체 대상의 4.5%로 모든 건강행위가 바람직하지 않은 사람들로 구성된다. 남자에서, 그리고 젊은 연령에서 많다. 흡연-음주군은 전체의 0.7%로 소수이지만 다른 군과는 달리, 흡연 음주는 많이 하면서도 식습관 운동량은 평균보다 약간 좋은 사람들인데, 건강행태의 다원성을 보여주는 예가 된다. 본 연구의 군집해가 Patterson[5]. Lee와 Kim[6], Kim[7] 등의 선행연구와 다른 점은 우선 서울이라는 대도시 지역의 20세 이상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조사시기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보아야하는데, 소극적건강행위군이 48.3%로 많았고, 적극적건강추구군이 24.8%로 많이 분류된 것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건강생활 양식의 유형 분류의 결과가 다르게 나오므로, 같은 지역에서 연차를 두고 건강생활양식을 분류하는 동일 연구를 하면 건강생활양식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지역에서 동일시기에 같은 분석을 시행한다면 지역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지역보건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개의 유형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연령, 수입이 두드러졌다. 특히 여자에서는 소극적 건강행위군, 적극적건강추구군이, 남자에서는 흡연군, 음주군, 건강유해행위군이 많았다. 연령이 많아지면서 건강을 위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적극적건강추구군이 증가했으며, 수입이 300만원 이상에서 특히 소극적건강행위군이 적고 적극적건강추구군이 많은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하여 각 군에 적절한 접근방법을 찾고, 개입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여자가 주를 이루는 소극적건강행위군에게는 운동실천, 식생활 개선에 대한 적극적 개입을, 흡연군, 음주군에게는 주로 남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제도적, 문화적 접근을, 건강유해행위군에게는 치료적 접근을 시도해볼 수 있겠으며, 그외 건강생활 양식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접근전략에 대해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Health behaviors are related to each other, or they may be essentially dependent upon each other. Hence the overall health behaviors of a given population could be better described in terms of health lifestyle patterns. This paper tried to classify such patterns in a sample population and suggest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s. Methods: A sample population comprised of 2,775 adults who reported their health behaviors in a public health surv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moking, drinking, diet, and exercise related pattern of behaviors. Clustering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them. Results: Six health lifestyle patterns were identified. Individuals in the passive lifestyle cluster (48.3%) had no activ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but did avoid risk taking health behaviors. 24.8% of the samp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d an overall healthy lifestyle. 13.5% of the sample were in the smoking cluster, and 8.4% were in the alcohol drinking cluster. The hedonic lifestyle (4.5%) was characterized by heavy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oor diet and exercise. 0.7% of the sample (Smoking-Drinking lifestyle) had heavy smoking and drinking, but good diet and exercise. Each group could be characterized by sex, age, and income. Conclusions: A population sample of Seoul adults were successfully clustered into six health lifestyles.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uggest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ach health lifestyle groups. We can approach to a certain target population with specific strategy.

키워드

참고문헌

  1. Kang MG. The influence of health lifestyle on health care utilization.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00(Korean)
  2. 통계청. 사망원인통계결과. 2002
  3. Lalonde M.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Ottawa, International canada, 1974
  4. Revicki D, Sobal J, DeForge B. Smoking status and the practice of other unhealthy behaviors. Fam Med 1991:23:361-364
  5. Patterson RE, Haines PS, Porkin BM. Health lifestyle patterns of US adults. Preventive Medicine 1994: 23: 453-460 https://doi.org/10.1006/pmed.1994.1062
  6. Lee SY, Kim SW. Health behavior patterns of Korean.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1997:30(1):181-193( Korean)
  7. Kim Y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pattern and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Th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Chosun University, 2003(Korean)
  8. 서울특별시. 서울 시민 보건지표조사 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9. 김기명, 전명식. SAS군집분석. 자유아카데미, 1996
  10. Cockerham WC. Lifestyles, social cla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In: Gochman DS (ed.).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I). New York, Plenum Press, 1997
  11. Burke V, Milligan RAK, Beilin LJ, Dunbar D, Spencer M. Clustering of health-related behaviors among 18-yearold Australians. Preventive Medicine 1997: 26: 724-733 https://doi.org/10.1006/pmed.1997.0198
  12. Langlie JK. Interrelationships among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 test of competing hypotheses. Pub Health Rep 1979:94:216-225
  13. Berrigan D. Dodd K. Troiano RP. Susan M. Krebs-Smith, Barbash RB. Patterns of health behavior in U.S. adults. Preventive Medicine 2003: 36: 615-623 https://doi.org/10.1016/S0091-7435(02)000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