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tive Inten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igh School

고등학생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ublished : 2006.12.01

Abstract

Purpose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dequ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satisfying the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by exploring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ed their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This research was also designed to serve as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will encourage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Methods : The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58 coedu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onsisting of 317 9th graders and 341 10th graders. For this study, 599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from December 12, 2005 to December 23, 2005. Results : Overall, students surveyed in this research showed relatively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5 dimensions, interpersonal support received the highest score while health responsibility ranked the lowest. Another finding was that posture correction program enjoyed the strongest student participation (75.5%) followed by stress management program(70.1%) and weight control program (56.6%).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tion rates for no-drinking(12.9%), smoking cessation program(17.0%), and influenza prevention program(22.9%) were at the low e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interpersonal support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gets, the higher student participation becomes. Conclusion :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 participation was determined by the nature of health-promoting program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t also showed that the sub-scales of the programs played a bigger role in student participation. Keeping this in mind, a wealth of health-enhancing programs of distinguishing qualities need to be tailored to meet various needs of students. In addition, se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motivate them to seek relevant health promotion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말순, 김정남 (2000). 일부여대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관련요인 연구.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11(1), 184-198
  2. 고기홍 (2004). 청소년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 6. 부산
  3. 김경빈 (2001). 청소년 술, 담배, 약물 등 남용현황 및 대책.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4(1), 5-22
  4. 김도희 (1999). 운동처방 프로그램이 성인들의 건강지식. 태도, 건강행동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6(1), 127-135
  5. 김명식 (2003).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금연 프로그램과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5-36, 서울
  6. 김문실 (1997). 청소년의 건강증진. 대한간호학회지, 36(3), 6-15
  7. 김은애, 정연강, 김기숙 (2000).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 관계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3(2), 241-259
  8. 김영복, 하은희, 김주영 윤영옥 (2001). 대학생의 건강 증진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8(1), 1-15
  9. 김영애, 김상순, 정문숙, 한창현 (2000).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관계요인.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7(1), 1-18
  10. 김이순, 주현옥, 신우선. 송미경 (2000). 초 . 중 . 고등학교 비만프로그램 구축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9(3), 87-105
  11. 김일여 (1996). 청소년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37, 서울
  12. 김화중, 윤순녕, 전경자 (1999). 학교보건과 간호, 서울 : 수문사
  13. 류정은, 권영미, 이건세 (2001)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8(1), 49-60
  14. 문재영 (1995). 스트레칭 운동이 자세에 미치는 영향. 상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35, 서울
  15. 변영순, 장희정 (1996). 여대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자원동원성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8(2), 101-111
  16. 변혜정, 최외선 (1999). 고등학생의 특성불안과 우울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6(1), 153-171
  17. 보건복지부 (2002).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2-18
  18. 서우성 (2003). 일부 대학생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예방태도. 지식 및 건강행동에 관한 조사. 충남대학교 보건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1-23, 충남
  19. 서울특별시 학교보건원 (2005). 학교보건연보, 제 35 호 11-18
  20. 신상만, 이상주 (1993). 예방 접종의 어제와 오늘 순천향대 학교논문집, 16(4), 1109-1115
  21. 유상희 (2002). 일 고등학교 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43, 전남
  22. 이경화 (200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전북
  23. 이미라 (1997).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7(1), 156-168
  24. 이미라, 소희영 (1997). 건강교과목 학습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9(1), 70-84
  25. 이정렬, 유일영, 이은숙 (1999). 시력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시력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6(1), 137-148
  26. 이화연 (2005),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효과 검증.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대구
  27. 조성진. 전흥진, 김무진, 김장규. 김선옥, 류인균, 조맹제 (2001). 한국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0(4), 627-638
  28. 차규정 (2001). 정상체중과 과다체중 여고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24, 충남
  29. 최숙경, 이강숙, 이정운 구정완 박정일 (2003). 일부지하철 근로자들의 교대근무형태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정도와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대한산업의학학회지. 15(1), 137-151
  30. 학교보건법 및 동법시행령 (2005)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국민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발전. 2-12
  32. 한규민 (2004). 척추측만증 개선을 위한 척추운동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33-35. 인천
  33. 홍명선 (1999). 국민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가천길대학 논문집, 제 23호. 111-125
  34. 홍외현, 김정남, 박영숙 (1999). 여고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3(2). 183-201
  35. 황란희 (2001), 자조집단을 이용한 율동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여대생의 체중 조절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52. 서울
  36.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1978). The Recommende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maintaining fitness adults. Sports Med Bell. 3, 1-4
  37.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mmitte Report (1982). National of diet heart ststement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65(4). 839-834 https://doi.org/10.1161/01.CIR.65.5.839
  38.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39. Ajzen, I.. & Madden. T. J. (1986).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al control. J.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453-474 https://doi.org/10.1016/0022-1031(86)90045-4
  40. Epstein. L. H.. Wing, R. R.. & Valoski, A. (1985). Childhood obesity. Pediatr Clin N Am. 32. 363-379 https://doi.org/10.1016/S0031-3955(16)34792-7
  41. King. T. K.. Marcus. B. H.. Pinto. B. M.. Emmons. K. M., & Abrams. D. B. (1996). Cognitive behavioral mediators of changing multiple behaviors : smoking and sedentary lifestyle. Preventive Medicine. 25. 684-691 https://doi.org/10.1006/pmed.1996.0107
  42. Neil, D. Weinstein. & Peter. M. Sandman (2002).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Stage of Change. Health behavior & Health education. 99-120
  43. Nguyen. M. N., Potvin. L.. & Otis. J. (1997). Regular exercise in 30 to 6- year old men combining the stages or change mode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identify determinants for targeting heart health interventio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2(4). 233-246 https://doi.org/10.1023/A:1025196218566
  44. O'Donnell, M.. & Harris. J. S. (1994).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3-45. Albany. N.Y. : Delmar Publishers
  45. O'Donnell, M. (1999). Health Promotion: An Emerging strategy for Healthem Enhancent and Business Cost savings in Korea(Unpublished).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07-116
  46. Pender. N.J.. & Pender. A. R.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3rd ed.), 13-80. Stamford. Conneticut : Appleton-Lange
  47. Rodin. J. (1993). Cultural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weight concerns. Annuals of Int Med. 19(7 pt), 643-645
  4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03000-00004
  49. WHO Expert Committee (1996). Promoting Health through School: A Summary and Recommendations of WHO's Expert Committee on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WHO/HPR/H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