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Mt. Joongwang with Respect to Altitude and Aspect

해발고와 사면에 따른 중왕산 지역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연간 순생산량

  • 권기철 (국립산림과학원)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6.03.14
  • Accepted : 2006.04.05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between 60 to 70-year-old Quercus mongolica stand at 1,300m, 1,000m, and 800m from sea level in Mt. Joongwang. The total 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were 211.6 ton/ha and 12.7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200.3 ton/ha and 14.0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1,300m from sea level, 252.9 ton/ha and 17.3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212.2 ton/ha and 14.2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1,000m from sea level, and 256.7 ton/ha and 14.5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232.4 ton/ha and 14.6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800m from sea level. The obtained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nual net production among the study stands with respect to altitude, while did not those with respect to aspect.

본 연구는 해발고와 사면에 따른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연간 순생산량을 구명하기 위해 강원 평창 중왕산 지역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왕산 지역 60-70년생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현존량은 해발 1,300m에서 북사면 211.6 ton/ha, 남사면 200.3 ton/ha, 해발 1,000m에서 북사면 252.9 ton/ha, 남사면 212.3 ton/ha, 해발 800m에서 북사면 256.7 ton/ha, 남사면 232.4 ton/ha로서 해발고가 낮아질수록 바이오매스가 증가하였으며, 북사면이 남사면보다 바이오매스가 더 많았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해발 1,300m에서 북사면 12.7 ton/ha/yr, 남사면 14.0ton/ha/yr, 해발 1,000m에서 북사면 17.3 ton/ha/yr, 남사면 14.2 ton/ha/yr, 해발 800m에서 북사면 14.5 ton/ha/yr, 남사면 14.6 ton/ha/yr로서 남사면에서는 해발고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북사면에서는 해발 800m 부위보다 해발 1,000m 부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에 따른 신갈나무림의 연간 순생산량을 비교하면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부

References

  1. 권기철. 1998. 천연갱신을 위한 월악산 천연림의 군집생 태학적 무육방안. 충북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85pp
  2. 김갑덕, 김태욱, 이경재, 김준선. 1985. 아까시나무 조림지의 물질생산량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9:60-68
  3. 김태욱, 이경재, 박인협. 1982. 환경오염이 오동나무 인공림의 물질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8: 8-16
  4. 박관수. 2003. 광양, 평창, 영동 지역 선갈나무 임분의 현존생물량 및 순생산량. 한국임학회지 92(6): 567-574
  5. 박봉규, 이현순. 1981. 도봉산의 사변에 따른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파학연구원 논총 제27집 81-94pp
  6. 박은숙. 1987. 황학산 천연활엽수 이차림의 식물사회학적 특성과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46-47
  7. 박인협, 서영권, 김동엽, 손요환, 이명종, 진현오. 2003. 강원도 춘천지역 선갈나무 임분과 굴참나무 임분의 물질생산. 한국임학회지 92(1): 52-57
  8. 박인협, 문광선.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3) 246-253
  9. 산림청. 2005. 임엽통계연보 제35호. 산림청 462pp
  10. 송칠영, 이수욱. 1996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443-452
  11. 오정수, 홍성각. 1989. 집약재배된 현사시 임분의 밀도와 벌기령이 물질생산과 생산구조에 미치는 영향. 임산에너지 9(2): 62-79
  12. 이경재, 박인협. 1987. 경기도 광주지방 22년생 잣나무 및 선갈나무림의 물질생산량과 무기영양물분포. 임산에너지 7(1): 11-21
  13. 이돈구, 고영주, 윤종화, 권기원, 김갑태, 마상규, 김지홍, 김수인, 황재우, 신만용. 1995.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 (XI). 산림청
  14. 이돈구, 김지홍, 조재창, 차동호. 1990.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IIl)-제2장 생태연구 편. 과학 기술처. 449pp
  15. 이수욱, 박관화. 1986. 한국의 소나무 및 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유기Energy 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산에너지학회지 6(1): 46-58
  16. 四大學合同調査班. 1966. 森林の生産力に関する附究. 第3報. スギ人エ林の圽產について. 日本林業技術協會育林技術研究會. 束京. p.1-63
  17. 只本良也, 峰f欠欣二. 1968. 森林生態學とその物質生歪. わかりやすい林業解諜シリズ p.2 林業科學技桁振興所. 66pp
  18. Brunori, A., P.K.R. Nair and D.L. Rockwood. 1995. Performance of two Eucalyptus species at different slope positions and aspects in a contour-ridge planting system in the Negev Desert ofIsrael. For. Ecol. Manage. 75: 41-48 https://doi.org/10.1016/0378-1127(95)03540-Q
  19. Canadell, J., A. Djema, B. Lpez, F. Lloret, S. Sabat, D. Siscart and C.A. Gracia. 1999.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Root System. Pages 47-59 in F. Rod, J. Retana, C.A. Gracia and J. Bellot(eds). Ecology of Mediterranean Evergreen Oak Forests. Ecological Studies 137. Springer.
  20. Finney, H.R., N.H. Holoway and M.R. Heddleson. 1962. The influence of microclimate on the morphology of certain soils of the Allegheny Plateau Ohio. Soil Sci. Soc. Ann. Proc. 26: 287-292
  21. Johnson, F.L. and P.G. Risser. 1974. Biomass, anuual net primary production and dynamics of six mineral elements in a post oak-blackjack oak forest. Ecology 55(6): 1246-1258 https://doi.org/10.2307/1935453
  22. Laclau, P. 2003. Root biomass and carbon storage of ponderosa pine in a northwest Patagonia plantation. For. Ecol. Manage. 173: 353-360 https://doi.org/10.1016/S0378-1127(02)00012-9
  23. Minckler, L. 1961. Silviculture considerations in the challengers for forestry. State U. of New York, College of For., Syracase, N.V
  24. Ovington, J.D. 1962. Quantitative Ecology and the Woodland Ecosystem Concept. Pages 103-192 in J.B. Cragg( ed).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vol.1. Academic Press
  25. Ovington, J.D. 1965. Organic production, turnover and mineral cycling in woodlands. Biol. Rev. 40: 295-336 https://doi.org/10.1111/j.1469-185X.1965.tb00805.x
  26. Rodin, L.E. and N.I. Bazilevich. 1967. Production and Minerai Cycling in Terrestrial Vegetation. Oliver and Boyd,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