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일반음식점 영업자의 위생관리 지식 및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Restaurant-Related Sanitation of New Restaurateurs

  • 박기홍 (광주광역시 동구청 환경위생과) ;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교실)
  • Park, Ki-Hong (Department of Sanitation, Dong-Gu Provincial Office) ;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6.06.30

초록

식품위생에 관한 지식은 식중독의 예방여부, 냉동 냉장식품 보관법, 유통기한 경과 제품처리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7.9%-94.4% 정도가 정확히 알고 있었으나, 식중독의 원인 주요 예방법, 냉장고 보관온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56.0%-63.0% 정도가 바르게 알고 있었다. 위생지식에 대한 정답률이 낮은 남성, 40대 이외의 연령층, 학력이 낮은, 종업원이 음식조리자인 경우에 대한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필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위생교육 미이수자가 위생지식에 대한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보아 교육내용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겠다. 위생수준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3.6%가, 건강진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78.6%가, 위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76.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위생수준이 미흡한 이유로 영업주의 위생의식이 미흡하여서가 조사대상의 71.6%로 가장 높았고, 개선해야 될 분야에는 업소시설 등 환경위생이 조사대상의 36.7%로 가장 높았다. 위생교육에서 가장 필요한 교육내용으로는 조사대상의 35.7%가 음식의 위생적 품질관리라고 하였고, 29.5%가 전반적인 식품위생의 개요라고 하였으며, 17.7%는 주변환경 및 주방시설의 위생적 취급이라고 응답하였다. 식품위생법 위반시 조사대상의 81.0%는 즉시 시정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즉시 시정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위생개선을 의해 행정기관에 바라는 점은 조사대상의 73.2%가 시설 및 운영자금지원을 지적하였고, 주기적인 위생교육이 19.3%, 위생공무원의 현지지도가 6.2%였다. 위생실천 실태에서는 위생복 착용률은 31.1%였으며, 조리시에 손을 씻지 않거나 그냥 물로만 씻는 경우가 각각 3.2%, 36.2%였고, 개인위생을 잘 준수한다는 43.7%로서 실천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흡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상태 개선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제도적 보완과 금융지원, 영업주의 직업에 대한 자긍심고취, 위생교육기관의 실효성 있는 위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ward sanitary administration of the new restaurateurs, to carry out the sanitary management of business for improvement of sanitary level, and to provide basic data which were necessary for sanitary education of the restaurateurs. Methods: The self-recording survey on the attitude and the knowledge toward the sanitation, the sanitary administration, and its education was conducted against new 393 restaurateurs by the administrative division of Gwangju city in charge of the food industry which put in the regular sanitary education annually for the new restaurateurs. Results: In regard to food sanitation, some 87.9% to 94.4% got the right knowledge about the reason and precaution of food poisoning, storage methods of frozen or cold food, and the disposal of product after expiration of validity term. But it was about 56.0% to 63.0% who knew right about the cause and the major precaution of food poisoning, storag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30.6% of the subject placed an emphasis on personal sanitation of the worker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anitary management. 83.6% repli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sanitary level. Concerning the health examination, 78.3% replied it was needed. 76.4% pointed the need for education, but respondents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less emphasized its needs. It was most frequently pointed out by 71.6% restaurateur's poor awareness about it. 36.7% indicated the environmental sanitation like facilities in the restaurants as the first thing to be improved. The rate of personal sanitation was 43.7%. Conclusions: To improve the poor sanitary conditions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it was recommended to offer institutional backing and financial aid from administrative office, to encourage restaurateurs to take pride in their job, and to conduct the sanitary education effectively by the technical education institu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경혜, 류은순, 이경연,창원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실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식품 영양과학회지 2001:30:747-759
  2. 통계청 .2003 가계조사 .2004
  3. 한국음식업중앙회. 95 한국외식산업년감. 1995
  4. 정기혜.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발생 현황 및 위생관리 제고방안. 전남대학교 부설연구원 2002:22: 150-174
  5. 식품의약안정청.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제 5호. 2003
  6. 홍종해. 식품접객업소의 위생개선을 위한 검사항목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1
  7.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03
  8. 변종화, 정기혜, 조흥제, 고경환,식품접객업소 위생관리 실태조사. 한국인구보건 연구원, 1986
  9. 이용욱. 우리나라 식품위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대한보건협회지 1988:14:3-22
  10. 조혜영. 식당위생과 관련된 업주 및 종사자 의 위생행태에 관한 연구 (1). 대한보건협회지 1986: 12:63-78
  11. 조학래, 허성호, 박욱연,대중음식점의 위생 실태조사. 동의공업전문대학 논문 1991:181 -186
  12. 김선택, 박재용, 감신, 한창현, 일반음식점 신규영업주의 위생관리지식 및 위생행정에 대한 태도.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8:15:79-95
  13.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예방의학 과 공중보건. 계축문화사, 1996
  14. 이원창, 이명진,한국인과 일본인에 있어서 식중독 발생 통계에 관한 비교분석. 대한보건협회지 1994:20:12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