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Chestnut Blight in Chestnut Tree Plantations

밤나무 재배지에서의 생물적, 환경적 요인이 밤나무 줄기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6.01.24
  • Accepted : 2006.02.10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Chestnut trees have been severely damaged by the various cankers in Korea. Field surveys for elucid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ease occurr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e., tree age, temperature, rainfall precipitation, direction, degree of slope,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nd so on, were carried out in the chestnut tree plantations located at Gyeongnam, Jeonnam, Chungnam, and Gyeonggi-Do Province. Totally, one thousand and one hundred thirty seven trees from 36 experiment plots were investigated. Trees infected by at least one of the canker fungi were estimated up to 66%. The most severely infested area was Sunchon in Jeonnam Province with the rate of 80%, while the most lightly infested area was Kongju in Chungnam Province with 39%. Disease occurrence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ree age. The disease occurred most frequently on trees ranged from 7 to 12 years old, while it was relatively low on trees below 5 years old or above 25 years old. Canker positions on the tree formed by the pathogenic fungi were most often at 1.6-2.0m above the ground. Over five hundreds bark samples from the canker area on the tree were collected and the pathogenic fungi were isolated. The most commonly isolated fungus was identified as Cryphonectria parasitica, the chestnut blight fungus.

전국적으로 밤나무줄기마름병의 피해가 증가하여 밤나무 재배농가에 적지 않은 피해를 주고 있다. 경상남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경기도 지역의 밤나무 재배지에서, 병의 발생과 이와 관련된 수령, 기온, 강수량, 방위, 경사도, 토성 등 입지환경요인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36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1,137본의 밤나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병의 발생에서 최소 하나이상의 궤양을 가진 밤나무는 66%에 달했으며 전남 순천 조사구에서는 80%로 발병율이 가장 높았고, 충남 공주 조사구는 3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병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령으로 조사되었으며, 수령 7~12년 밤나무가 발병율이 가장 높고 수령 5년 이하, 25년 이상 밤나무에서의 발병율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병원균에 의한 궤양 발생위치는 지상 1.6~2 m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밤나무 궤양 500개 이상 시료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밤나무줄기미름병원균 Cryphonectria parasitica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교상 등 15 인. 2001. 밤나무 재배관리 기술. 임업연구원. pp. 366
  2. 김선창. 1993. 밤나무 주요 품종 및 교배조합별 결과특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3
  3. 농림부. 2005. 밤나무 노령임분 갱신 및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연구보고서. pp. 321
  4.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분석법. pp. 202
  5. 박교수. 1973. 조기다수확을 위한 밤나무 재배법. 한국원예기술협회. pp. 331
  6. 변재경. 2004. 임해매립지에서 복토높이에 따른 토양환경변화 및 수목생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pp. 26-85
  7. 정인구, 박승걸. 1978 밤니무 비배관리. 산림청. pp. 295
  8. 성재모, 한상섭. 1986. 밤나무의 줄기와 가지마름에 관여하는 병원균의 분리 동정. 한국식물병리학회지 2(3): 174-184
  9. 손영모, 홍종수, 정영관. 1990. 해송의 생장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간의 다변량분석. 경상대 농자원연구소보 24: 95-106
  10. 이동운, 추호열, 이상명, 이영한. 2000. 밤나무에 대한 온도, 광 및 질소시비 조건과 기존 피해 잎이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성충의 유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3(3): 159-170
  11. 이철호, 윤정구. 1992. 밤나무 줄기마름병균의 동정과 발병에 마치는 요인의 영향. 농업과학연구 10(1): 87-104
  12. 정영관, 손영모, 박남창. 1993. 임목(해송)의 적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2(4): 420-430
  13.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14. 정진현, 김춘식, 구교상, 이충화, 원형규, 변재경 2003. 한국 산림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2(3): 254-262
  15. 朝鮮總督府 林業試驗場. 1925. 栗の胴枯病に, 就て
  16. Jones, C.G.J. Griffin and J.R. Elkins. 1980. Association of climatic stress with blight on chestnut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Plant Disease 64(11): 1001-1004 https://doi.org/10.1094/PD-64-1001
  17. Jong Kyu Lee. 1992. Biology and control of chestnut blight disease caused by Cryphonectria parasitica (MURR.) BARR in Massachusetts. 104 pp.,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18. Martha K. Roane, Gary J. Griffin and John Rush Elkins. 1986. Chestnut Blight, Other Endothia Diseases, and the Genus Endothia. APS Press
  19. Shear, C.L and N.E. Stevens. 1913. The chestnut-blight fungus (Endohtia parasitica) from China. Science. 38(974): 295-297 https://doi.org/10.1126/science.38.974.295
  20. Shear, C.L and N.E. Stevens. 1916. The discovery of the chestnut-blight fungus (Endohtia parasitica) and other chestnut fungi in Japan. Science 43(1101): 173-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