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 Characterization of Coatings for Stringed Instruments with Various Coating Thickness

도막두께에 따른 현악기용 도료의 음향적 성질

  • Choi, Jae-Hoon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Major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eon-Deuk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Major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Byoung-Hoo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Major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oong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Major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Woo-Yang (Department of Wood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최재훈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 황현득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 이병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 김현중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 정우양 (전남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Received : 2005.10.06
  • Accepted : 2005.12.01
  • Published : 2006.01.25

Abstract

The acoustic properties of various coating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made were investigated. The applied coatings were urethane topcoat, oil stain and UV-curable epoxy coating. Acoustic properties of coatings inferred from the elastic modulus and the shear modulus that ware calculated from a resonance frequency and a damping measured by FFT analyzer. The relationship between elastic modulus and dens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astic modulus and shear modulus of coating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a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coating thickness.

본 연구는 현악기에 사용되는 현악기용 도료가 현악기의 음향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음향분석장치(FFT)를 이용하여 목재악기용 도료의 도막두께에 따른 음향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목재악기용으로 사용된 도료는 악기용 우레탄계 상도도료, 오일 스테인계 도료,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도료이다. 형성된 도막의 음향적인 특성은 FFT 분석기에서 측정된 공명주파수와 댐핑값(damping factor)으로부터 동적탄성계수와 전단탄성계수를 계산하여 얻고, 밀도와의 관계와 탄성계수간의 관계를 통하여 도막의 두께에 따른 음향적인 특성을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부

References

  1. 山田 正 編. 1987. 木質環境の科學, 海靑社
  2. Dunlop, J. I. 1978. Damping Loss in Wood at Mid Kilohertz Frequencies. Wood Sci. Technol. 12: 49-62 https://doi.org/10.1007/BF00390010
  3. Dunlop, J. I. 1989. The Acoustic Properties of Wood in Relation to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ustralian Acoustic Society. 17(2): 37-40
  4. Dunlop, J. I. and M. Shaw. 1991. Acoustical Properties of Some Australian Woods. Catgut. Acoust. Soc. J. 1(7): 827-830
  5. 강춘원, 정희석. 1991. 진동시험에 의한 대체 향판수종의 음향적 성질 평가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19(1): 71-80
  6. 이원희, 황권한. 1997. 공진주파수에 의한 목재의 동적 탄성계수 추정. 목재공학. 25(1): 42-50
  7. 정우양, 홍병화. 1998. 바이올린용 주용 소재의 품질관리를 위한 음향학적 연구. 1998.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108-113
  8. 鄭雨陽, 朴善行. 1999. 바이올린用 素 材의 진동모드 解析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27(3): 1-6
  9. 정우양, 박선행. 2000. 바이올린계 현악기용 브릿지의 진동특성에 관한 연구. 2000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191-196
  10. 정희석, 유태경, 권주용. 1998. 전통악기 음향판의 양면 도장이 음향성에 미치는 영향. 목재공학. 26(4): 26-33
  11. 최재훈, 이병후, 김현중, 정우양. 2005. 현악기용 음향기능성 도료의 점탄성 성질과 음향적 성질. 목재공학. 33(4): 15-22
  12. Hearmon, R. F. S. 1966. Theory of the Vibration Testing of Wood. Forest Products J., 16(8)
  13. 이큰울. 2004. 휨진동법에 의한 국악기용 주요 국산재의 재질 및 음향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14. 李賢鍾, 水町 浩. 1995. 木材/高分子複合系のダンピング特性(第4報)アクリル酸2ェチルへキシル/スチレン 共重合體とIPNs. 日本木材學會 41(1): 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