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fficiency of Algae Removal Using Ultrasonic Waves in Double Cisterns

초음파에 의한 2중 수조에서의 조류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 Sim, Joo-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Seo, Hyung-J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Kwon, Byung-Dae (Waterworks Headquarters, Incheon Metropolitan City)
  • 심주현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 서형준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 권병대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lgae removal and reduction using ultrason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frequency: 28 kHz single-wave, 40 kHz multi-wave; intensity: 10, 15, 20, 25, 30 W/L; algae concentration: 500, 1000, 1700/ml; exposure time: 1, 3, 5, 7, 10, 15, 20 min. Also, We investigated algae removal and reduction in single cistern where raw water including algae was directly exposed to ultrasonic and in the double cisterns located in 4 cm from ultrasonic vibrator. The algae type used in this study was Melosira genus of Bacillariophceae. The Bacillariophceae is the representative algae which causes blockage of filter basin. Because of its resistance against oxidizers, it flows into the filter basin after steriliz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rm of Bacillariophceae was completely destroyed and dissolved after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waves unlike the sterilization using oxidizers. Removal efficiency of algae using ultrasonic wav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intensity and exposure time of ultrasonic waves, and in double cisterns is better than single cistern.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의 제거 및 저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주파수별(28 kHz의 단주파와 40 kHz의 다주파), 출력별(10, 15, 20, 25, 30 W/L), 조류 개체수별(500, 1000, 1700/mL)로 변화시켜가며, 노출시간 1, 3, 5, 7, 10, 15, 20분에 따라 진행하였다. 또한,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직접 초음파에 노출시키는 단일 수조와 초음파 발진기로부터 이격거리 4 cm를 두고 초음파에 노출시키는 2중 수조에 대한 실험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류의 종은 규조류(Bacillariophceae)중 Melosira 속이다. 규조류는 염소 등에 의한 산화제 처리 시 염소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조류가 살균처리 후 여과지까지 유입되어 여과지 폐색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조류이다. 본 연구결과, 초음파 노출 후의 규조류는 산화제에 의한 살균처리와 달리 형태가 완전히 파괴되어 분해되었으며, 초음파의 출력과 노출시간에 비례하여 조류제거효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2중 수조에서 더 좋은 조류제거효율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Huang, J., Wang, L., Ren, N., Liu, X. L., Sun, R. F., and Yang, G.,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viruses, algae and animal planktons in water,' Water Res., 31(3), 455-460(1997) https://doi.org/10.1016/S0043-1354(96)00276-X
  2. 최일환, 김선규, 김학철, 김순홍, '염소처리에 의한 남조류 Microcystins 제거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3(6), 903-910(2001)
  3. Holzinger, A. and Lutz, C., 'Algae and UV irradiation: Effects on ultrastructure and related metabolic functions,' Micron, 37(3), 190-207(2006) https://doi.org/10.1016/j.micron.2005.10.015
  4. 이철희, 이세한, 오카다미쯔마사, '정수처리에 있어서 철-실리카 무기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한 조류 및 Cryptosporidium의 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26(8), 876-882(2004)
  5. 장부규, 충격 및 초음파에 의한 조류제거,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8(1992)
  6. 수자원연구소, 댐 저수지의 조류사진집, 1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8-12(2000)
  7. 이현동, 이의신, 서규태, 상수도의 생물, 1판, 진리탐구, 서울, pp. 20-24(1996)
  8. 인천광역시 수연구실, 조류도감,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1998)
  9. 이종락, 초음파와 그 사용법 ; 초음파센서 . 초음파 모터, 1판, 세화, 서울, pp. 28-35(1997)
  10. HANSONIC, Ultrasonic Generator & Transducer, HANSONIC TECH(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