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Geophysical Survey of Abandoned Landfills for Contamination Evaluation: A Case Study

불량 매립지 오염평가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사례연구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y fields and the resistivity survey lines were crossed to examine possible pollution at the paddy fields by leakage of the landfill leachate. In Wonju, the landfill and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are divided by a concrete barrier wall. At the bottom of the landfill, there is a leachate settlement system, which has not been in operation. To evaluate leachate leakage into the paddy fields, a total of 4 survey lin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survey results, the landfill leachate in Cheonan appeared to be restricted only within the interior of the landfill, not to migrate into the subsurface of the paddy fields. These results are well consistent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f groundwaters obtained from a periodic analysis of water qualities. In Wonju, however, it was inferred that the leachate emanating from the landfill migrated beneath the abandoned leachate settlement system and the leachate would reach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Low resistivity area was observed in the old reservoir area and it appeared to be derived from convergence of groundwater flows from the surrounding valley and the moist wet land. In addition, groundwater flow into the paddy fields occurs beneath the old reservoir embankment at depths of $7{\sim}8m$. This paper reports details of the resistivity surveys for the uncontrolled landfills.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비저항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립지 주변 지질구조와 침출수 오염영역, 침출수 유동을 평가하였다. 천안 직산매립지는 매립지가 논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립지로부터 침출수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어 물리탐사 측선 배열을 매립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는 측선배열을 수행하였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 매립지와 주변 논밭의 경계가 매립지 옹벽으로 나뉘며, 매립지 경계로부터 침출수 침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현재는 방치된 상태로 침출수 누출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총 4개 측선에 대해 3개 측선은 매립지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개 측선은 이 3개 측선을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2차원 비저항 역산모델을 수행한 결과 천안매립지의 경우 침출수가 외부 논으로 확대되지 않고 매립지 내부에 정체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하수 관측정 정기 수질분석시 측정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는 매립지로부터 유래된 침출수가 매립지 경계 부근 폐기된 침출수 처리시설 밑으로 흐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매립지 주변 기존 저수지였던 곳에서는 매립지 주변에 위치한 계곡의 영향으로 계곡에서 흘러드는 지하수에 의한 흐름과 과거 저수지의 영향으로 지표 근처에서 낮은 비저항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 제방에서는 하부 $7{\sim}8m$ 심도에서 지하수가 논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하의 반응온도 기준으로 약 $10{\sim}80%$ 이상이었다. 따라서, CVOCs 제거반응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일 $CrO_x/Al_2O_3$ 촉매보다는 $CrO_x$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반응활성을 얻을 수 있는 $CrO_x/TiO_2$-based복합 산화물 촉매가 보다 바람직하며 하나의 대안적인 촉매 디자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EX>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정상, 환경 수리지질학, 신우사(1988)
  2. U.S. EPA, Subsurface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Techniques: A Desk Reference Guide, EP A/625/R-93/003a, Washington DC(1993)
  3. 이철효, 박삼규, '매립지 오염평가를 위한 물리탐사의 적용사례,' 환경오염지역 평가를 위한 물리탐사 기술,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pp. 104-121(2001)
  4. 이재영, 김학수, '불량쓰레기 매립지에 대한 물리탐사 적용사례 연구(I),' 한토양환경학회지, 1(1), 29-38(1996)
  5. Carpenter, P. J., Calkin, S. F., and Kaufmann, R. S., 'Assessing a fractured landfill cover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seismic refraction techniques,' Geophysics, 56, 1896 -1904(1991) https://doi.org/10.1190/1.1443001
  6. Barker, R. D., 'Improving the quality of resistivity sound ing data in landfill studies,'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Vol. 2, Ward, S. H. (Ed.), Soc. Expl. Geophys., pp. 245 -252(1990)
  7. Buselli, G., Barber, C., Davis, G. B., and Salama, R. B., 'Dete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near waste disposal sites with transient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methods,'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Vol. 2, Ward, S. H. (Ed.), Soc. Expl. Geophys., pp. 27-39(1990)
  8. Van, G. P., Park, S. K., and Hamilton, P., 'Monitoring leaks from storage ponds using resistivity methods,' Geophysics, 56(8), 1267-1270(1991) https://doi.org/10.1190/1.1443147
  9. Roberts, R. L., Hinze, W. I., and Leap, D. I., 'Data enhancement procedure on magnetic data from landfill investigation,'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Vol. 2, Ward, S. H. (Ed.), Soc. Expl. Geophys., pp. 261-266(1990)
  10. 권병두, 김차섭, 정호준, 오석훈, '난지도 매립지 및 그 주변의 지질환경연구,' 자원환경지질, 28, 469-480(1995)
  11. 김형수, 이기화, 한정상, 1995, '난지도 일대의 침출수 양태조사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 지질공학, 5, 259-276(1995)
  12. 이철효, 난지도매립지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오염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1994)
  13. LaGrega, M. D., Buckingham, P. L., and Evans, J. C., Hazardous Waste Management, McGraw-Hill, New York (1994)
  14. Ward, S. H., 'Resistivity and induced polarization methods,'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Vol. 2, Ward, S. H. (Ed.), Soc. Expl. Geophys., pp. 147-189(1990)
  15. Whitely, R. J. and Jewell, C., 'Geophysical technique in contaminated lands assessment - Do they deliver?,' Exploration Geophysics, 23, 557 - 565(1992) https://doi.org/10.1071/EG992557
  16. Lee, J. Y., Cheon, J. Y., Kwon, H. P., Yoon, H. S., Lee, S. S., Kim, J. H., Park, J. G., and Kim, C., 'Comparison of hydrogeologic and hydrochemical conditions between two uncontrolled landfills,' Water lnternational(submitted)
  17. Lee, J. Y. and Lee, K. K., 'Use of hydrologic time series data for identification of recharge mechanism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system,' J. Hydrology, 229, 190-201(2000)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158-X
  18. 이진용, 천정용, 권형표, 윤희성, 이성순, 김종호, 박정구, 김창균, '불량매립지의 침출수 누출에 의한 지하수 오염 및 자연저감 평가,' 지하수토양 워크삽: 지하수토양 환경분야의 정책동향 및 연구방향, 고려대학교 pp. 123 - 134(2005)
  19. Mukhtar, A. L., Sulaiman, W. N., Ibrahim, S., Latif, P. A., and Hanafi, M. M., 'Detection of groundwater pollution using resistivity imaging at Seri Petaling Landfill, Malaysia,' J Environ. Hydrology, 8, 1-7(2000)
  20. 손호웅, 김지수, 송영수, 윤왕중, 김인수, 서만철, 김기영, 조인기,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1999)
  21. deGroot-Hedlin, C. and Constable, S. C., 'Occam's inversion to generate smooth, two-dimensional models from magnetotelluric data,' Geophysics, 55, 1613-1624(1990) https://doi.org/10.1190/1.1442813
  22. 김정호, (주)희송, DlPRO(프로그램 등록번호 96-01-120102), 대한민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1996)
  23. 인하대학교, 불량매립지의 분자생태학적 장기모니터링 기술개발 연차보고서, 한국기술진홍원(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