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through Fractured Rock Mass by Tunneling in a Mountainous Area

산악 지역 내 터널 굴착 시 단열 암반 내 지하수 유동 분석

  • 김형수 ((주) 넥스지오 지하수 환경팀) ;
  • 이주현 ((주) 넥스지오 지하수 환경팀) ;
  • 안주희 ((주) 넥스지오 지하수 환경팀) ;
  • 안규천 ((주) 넥스지오 지하수 환경팀) ;
  • 윤운상 ((주) 넥스지오)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Intake of groundwater by tunneling in a mountainous area mostly results from groundwater flow through fractured parts of total rock mass. For reasonable analysis of this phenomenon the representative joint groups 1, 2, and 3 have been selected by previous investigations, geological/geophysical field tests and boring works. Three dimensional fractures were generated by the FracMan and MAFIC which is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has been used to analyse a groundwater flow through fractured media. Monte Carlo simulation was appli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this study.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nd deviation of amounts of groundwater intaked into tunnel per unit length were $5.40{\times}10^{-1}$ and $3.04{\times}10^{-1}m^3/min/km$. It is concluded that tunnel would be stable on impact of groundwater environment by tunneling because of the lower value than $2.00{\sim}3.00m^3/min/km$ as previous and present standard on the application of tunnel construction.

산악 지형 내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입은 실제 암반 내 발달한 절리 및 파쇄구간을 따라 유동하는 지하수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정밀 지반조사 물리탐사 및 시추 탐사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모델영역을 선정하고 대표 절리군 1, 2 및 3을 선택하였다. 3차원 절리망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그램(FracMan)을 이용하였고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확률적 통계기법 중 하나인 Monte Carlo Simulation 을 적용하였다. 수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불연속면 수리특성 시험 양수시험 및 수압시험 결과 대표 절리군 1, 2 및 3의 투수량 계수($T_f$)는 각각 $9.60{\times}10^{-6},\;7.35{\times}10^{-6}$$1.01{\times}10^{-5}m^2/s$ 이였다. 모델 영역의 수리적 초기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지하수 연속체 프로그램(Visual MODFLOW)를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지하수 불연속체 프로그램(MAFIC)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터널내부의 단위 길이 당 유입량은 평균 $5.40{\times}10^{-1}m^3/min/km$, 표준편차 $3.04{\times}10^{-1}m^3/min/km$로 예측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터널 굴착에 따른 광역적인 지하수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8.64{\times}10^{-2}{\sim}2.30{\times}10^{-1}m^3/min/km$로 기존 및 본 설계 적용 기준인 3.00 및 $2.00m^3/min/km$의 값보다 낮은 범위로 예측되어 터널 굴착 시 지하수 유입에 따른 공극수압의 변화에 따른 응력 변화가 적어서 터널 구조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cDonald, M.G., and A.W. Harbaugh, 1988, A modualr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U.S.G.S
  2. 이정호, 이영준, 이수재, 2005, 터널로 인한 지하수 영향 저감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p.50-58
  3. Freeze, R.A., and J.A. Cherry, 1979, GROUNDWATER, Prentice-Hall. Inc, p26-28
  4. Long, J.C, Chair, 1996, Rock Fractures and Fluid Flow; Contemporar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5. Young, S.C., H.E. Julian, H.S. Pearson, F.J. Molz, and G.K. Boman, 1998, Application of the electromagnetic borehole flowmeter, EPA/600/R-98/058,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