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Liquid Pig Manure Application on the Production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Soil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ching Water

돈분 액비 시용이 피의 생산성, 토양 특성 및 용탈수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pig manure on the production of Japanese millet,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sture soil and leaching water. The study was undertaken from June to September 2005.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as used to allot four treatments: T1 (no fertilizer), T2 (N : 200 kg/ha, p : 150 kg/ha, K : 150 kg/ha), T3 (liquid pig manure containing 1.7% DM 200 kg N/ha) and T4 (liquid pig manure containing 7.0% DM 200 kg N/ha). Leaching water was sampled at 21 August (1st time), 9 September (2nd time) and 26 September (3rd time), 2005,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ry matter yield of Japanese millet was found among the four treatments, whereas the plant lengths of Japanese millet were higher in the T2, T3 and T4 than in T1 (p<0.05). Nitrogen, P and K uptake of J. millet tended to be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or 7.0% DM liquid pig manure compared with T1 or 1.8% DM liquid pig manure. The organic matter (OM)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T2, T3 and T4 than in T1. Na content was highest in T3 among the four treatments. $NO_{3^-}N\;or\;NH_{4^-}N$ content in leaching was not different among the four treatments. $SO_4$ content in leaching water sampled in 1st time was high in T4, but in T3 from 3rd time (p<0.05). Cl, Mg and Na contents were high in leaching water sampled in the 1st time from T4, whereas high in those from T3 in 2nd or 3rd tim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a high DM liquid pig manure is not better for producing Japanese millet and improving the properties of pasture soil than a low DM liquid pig manure. However, the contents of $SO_4$, Cl, Mg and Na in leaching water sampled in 1st time were high in a high DM liquid pig manure.

저 농도와 고 농도 돈분 액비의 비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제주대학교 목장에서 2005년 6월부터 9월까지 피의 생산성, 피 재배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용탈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난괴법 4처리 (무비구, 200 N kg/ha +150Pkg/ha+150 K kg/ha 화학비료구, 200 N kg/ha 1.8% DM 저농도 돈액비구, 200 N kg/ha DM 7.0% 고농도 돈액비구) 4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용탈수는 2005년 8월 21일(1차), 9월 9일(2차) 및 9월 26일(3차)에 각각 채취하였다. 피의 건물수량은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화학비료구가 가장 높았으며, 초장은 무비구 보다 화학비료와 돈분 액비 시용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피의 질소, 인 및 칼륨 흡수량은 화학비료와 고농도 돈액비구에서 다른 처리 보다 높은 추세였다. 토양의 OM함량은 무비 보다 비료시용(화학비료와 돈액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Na 함량은 저농도 액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용탈수 중 $NO_{3^-}N$$NH_{4^-}N$ 함량은 처리 간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 하였으며 1차 채수된$SO_4$ 함량은 고농도 액비에서 3차 채수된 $SO_4$ 함량은 저 농도 액비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1차 채수된 용탈수에서 Cl, Mg 및 Na 함량이 고농도 액비에서 2, 3차 채수 시에는 저 농도 액비구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하계작물 피에 고농도 액비 시용은 화학비료나 저농도 액비보다 그의 생산성이나 토양 특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다만 시용 초기에 용탈 수의 $SO_4$나 Cl, Mg 및 Na 함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Ed. S. Williams). A.O.A.C. Arlington.VA
  2. Damodar Reddy, A. Subba and P.N. Takkar. 1999. Effects of repeated manure and fertilizer phosphorus additions on soil phosphorus dynamics under a soybean-wheat rotation. Biol. Fertil. Soils 28:150-155 https://doi.org/10.1007/s003740050477
  3. Eghball. B. and J.F. Power. 1999. Phosphorusand nitrogen-based manure and compost applications: corn production and soil phosphorus. Soil Sci. Soc. Am. J. 63:895-901 https://doi.org/10.2136/sssaj1999.634895x
  4. Jenkinson, D.S., N.I. Bradbury and K. Coleman. 1994. How the Rothamsted classical experiments have been used to develop and test models for the turnover of carbon and nitrogen in soil. In Leigh, R.A., Johnson, A.E.(Eds.). Longterm Experiments in Agricultural and Ecological Sciences. CAB International. pp. 117-138
  5. Perkin-Elmer Corperation, 1982. Analytical methods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Perkin-Elmer Crop., Norwalk. CT
  6. Sieling, K. 2004. Growth stage-specific application of slurry and mineral N to oilseed rape, wheat and barley. J. of agric. Sci. 142:495-502 https://doi.org/10.1017/S0021859604004757
  7. Sieling, K., T. Brase and V. Svib. 2006. Residual effects of different N fertilizer treatments on growth, N uptake and yield of oilseed rape, wheat and barly. European J. of Agronomy. 25:40-48 https://doi.org/10.1016/j.eja.2006.03.002
  8. Statistix 8. 2003. Analytical software statistix 8. www.statistix.com
  9. Stevens, R.J., C.J. O'Bric and O.T. Carton. 1995. Estimating nutrient of animal slurries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J. of Agricultural Sci. Cambridge. 125:233-238 https://doi.org/10.1017/S0021859600084367
  10. Yoshida, S., D.A. Forno and J.H. Cock. 1983. Laboratory manual for physiological study of ric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11. 김문철. 1980. 피의 생육과 건물수량에 미치는 질소와 인산시비 수준의 효과. 한축지 22(6):509-515
  12. 김문철, 송상택, 황경준. 2004. 제주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액비의 비료성분 및 오염도 평가. 동물자원지 46(3):469-478
  13. 김문철, 최대진, 송상택. 2001. 돈분액비와 인산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수량 및 질소와 인 흡수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6): 973-980
  14. 농촌진흥청. 1989. 토양화학분석법
  15. 박남건. 2005. 제주화산회 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수수{\times}수단$ 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유거수 및 용탈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송상택. 2005. 돈분액비 시용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 및 용탈수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육완방, 최기춘. 2002. 액상발효우분(Cattle 슬러리) 및 요소의 N 시용수준이 옥수수의 생산성과 N 의 용탈에 관한 연구. 한초지. 22(1):37-44
  18. 이효원, 김동암 1980. 파종량과 질소시비 수준이 피의 생장, 일반성분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22(1):83-92
  19. 전병태, 이상무, 김재형, 오인환. 1995. 액상구비 시용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5(1):52-60
  20. 환경부. 2000. 수질오염 공정시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