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Life Perspectives on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after the Modernization Era

근대 이후 노인의 생활과 생활공간 변화에 대한 일상사적 고찰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ily life and the living arrangements use of the elderly with literature review after the modernization period based on the daily life perspectives. The changes in the ideology, social system, and family system, which influenced the society and families, also affected the status of the elderly and their daily lives. Consequently, they had been facing conflicts, acceptance, and internal differenti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the daily lives of the elderly in different periods were as follows. The contents were written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phenomenological, symbolic interaction, and Marxist.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family system and the hierarchy within a family had been reformed. However, the elderly were still considered as the symbolic leader and the respected figure of the famil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elderlies teach the next generations and influence the family's lives. On the other hand, from a perspective of symbolic interactions, spatial adjustment behaviors toward the largest room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ext generation were detected. The actual authority was given to the next generation. However, the elderly were still treated as the symbolic authority. Yet, as the society became more industrialized, conflicts aroused about the support of the elderly. Those, who were neglected from the family, even spent their daily time at the elderly center or the community center. The daily lives from the Marxist perspectives suggested that modernization caused the young generations, who were well-educated and had financial powers, to have initiatives. The role of the elderly was reduced and they became negligible people, who spend meaningless daily lives. The interested the Third Ages is a new perspective on the elderly, who were neglected from the industrialized societ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Third Ages are the generations that seek and demand for new housing.

Keywords

References

  1. 가톨릭대학교 한국 근현대 연구팀 (2006), 2006 구술자료집
  2. 건축사(1981, 1) 142호
  3. 경향신문, 1975, 7.12
  4. 김광언 (2000), 우리생활 100년 집. 서울: 현암사
  5. 김순일 (1982), 개화기의 주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106), 28-39
  6. 다카하시 노보루 사전. 고광민, 도쿠나가 미츠토시, 다카하시 코우시로 엮음(2002), 사진으로 보는 1940년대의 농촌 풍경. 서울:대원사
  7. 박재간(2002). 노인전용주거시설의 개발전략. 서울: 아시아마 디어리서치
  8. 보건사회부 (1959), 제 2회 전국주택설계현상 당선작품집
  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개항 이후 서울의 근대화와 그 시련 ( 1 876-1910), 서울특별시
  10. 시몬느 드 보부아르 저 (1970), 홍상희 외 역 (1994), 노년. 서울:책세상
  11. 신동아 (1932), 신가정내용공개
  12. 여성동아 (1987, 8), 아파트에 함께 사는 시부모와 며느라, 정 신질환늘고있다
  13. 여원, 1956, 12월호, 1964, 11월호, 1966, 2월호
  14. 위르겐 슐룸봄 저/ 백승종, 장현숙 편역 (2003), 미시사의 즐거 움.서울:돌베개
  15. 이순원 (2004), 거미의 집, 소설, 노년을 말하다. 서울: 황금 가지
  16. 이천시지편찬위원회 (2001), 개인생활과 마을 이천: 이천시집 편찬위원회
  17. 정무웅, 정기남 (1996), 노인주거 관련 연구경향 및 특성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11), 51-61
  18. 전남일 (2002), 한국 주거내부공간의 근대화요소에 관한 연구- 주거사회학적, 문화인류학적, 페미니즘적,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61-73
  19. 전남일 (2003), 문명화이론을통해 본 개항기의 주거와 그 근대 성의 재조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 25-40
  20. 정근식 (2005), 시간제제와 식민지적 근대성.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41, 146-169
  21. 조선일보 2003,10,17
  22. 조은 (1993), 한말 서울의 가족구조 한국 사회사연구회 편. 한국 근현대가족의 재조명. 서울: 문학과 지성사. 11-41
  23. 주택저널 (2002, 10), '실버타운 특집' 기사
  24. 최태호 (1996), 근대한국경제사 연구. 서울: 국민대학교 출판부
  25. 통계정 통계연보 (2000)
  26. 통계청 (2001),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 사업보고서
  27. 하버마스 저 (1981), 서규환 (1 95) 역. 소통행위이론. 서울: 의암출판
  28. 홍형옥(1992), 한국 住居史. 서울: 민음사
  29. 홍형옥 (2005), 근대 이후 한국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한 관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79-92
  30. 홍형옥(2001).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47-166
  31. 홍형옥, 이경희, 최정신, 김대년, 조재순, 권오정 (2004), 노후에는 어디에서 살까. 서울: 지식마당
  32. 홍형옥, 지은영 (2004),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 주택에 대한 견해의 지역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2(7), 1-17
  33. A. H. 새비지 저 (1895)/신복룡, 장우영 역주 (1999),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서울: 집문당
  34. Koreanit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