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by obesity in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및 음식기호에 관한 연구

  • Lee, Ji-E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 ;
  • Kim, Jung-Hyun (Dept. of Nutritional Sciences and toxic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 Ahn, Youn-Jhin (National Genome Research Institute, KCDC) ;
  • Park, Chan (National Genome Research Institute, KCDC) ;
  • Jung, In-K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
  • Published : 2006.10.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vestigate eating behaviors and their association with obesity in Korean elderly people. A total of 9,408 (male 4,487, female 4,921) Korean adults aged 40 to 69 years were interviewed and examined from May 2001 to Feb 2002.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weight status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BMI, $kg/m^2$): under weight, BMI<18.5; normal, $18.5{\leq}BMI\leq24.9$; overweight, $25.0{\leq}BMI\leq29.9$; obesity, $BMI\geq30.0$. Anthropocentric parameters, eat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cooking method and taste were examined. In male, distribution of weight status by BMI was under weight 2.4%, normal 58.1%, over weight 36.7%, obesity 2.8%. As the BMI increased, the rate of skipping meal, snacks, and eating out were increased and the rate of eat alone was decreased. When compared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by BMI, the frequency of the steamed, roasted, fried, seasoned, and soup intake rates were increases in the cooking methods and preference of greasy taste was increased by degree of obesity. In female, distribution of weight status by BMI was under weight 1.4%, normal 52.8%, over weight 38.6%, obesity 7.2%.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te of eating out, snacks, the frequency of fried food intake rates, and preferences of salty, hot, greasy taste according to the weight groups by BMI. In this results, we suggests that keep regular meal and keep away from the high-fat, salty, stimulative foods for prevent and administer the obesity in Korean adults meal and female.

Keywords

References

  1. 강제헌, 김경아, 한정순(2004). 한국식이의 비만과 체중조절에 대한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13(1), 34-41
  2. 김명숙, 안홍석(2003). 중년기 복부비만 여성의 섭식패턴과 혈청성분함량. 대한비만학회지, 12(2), 124-136
  3. 김미경, 김희정, 김영옥, 이진희, 이원철(2001). 서울 시내 일부 학령 전 아동들의 비만 유병률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2), 121-129
  4. 김석영, 김주영, 박경민, 장희애(2003). 고추를 첨가한 매운 국이 체온, 혈압, 식욕 및 섭취열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36(8), 870-881
  5. 김성환, 김나영, 여인섭(2005). 대전 일부 성인 남녀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설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5(2), 152-157
  6. 김숙희 (1999).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영양소 섭취와 학업성취도,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회 학술지, 5(2), 215-224
  7. 김연희, 김영남(2002). 중소도시 중년기 여성의 비만도 및 비만 관련변인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4), 506-515
  8. 남혜원, 김은경, 조운형(2003). 영동지역 일부 주민의 음주, 흡연, 폐경 및 비만여부에 다른 신체계측치와 혈중 지질 농도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5), 770-780
  9. 박경애, 김선희(2005). 경북 일부지역 유아들의 비만과 이에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식습관, 식품기호도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5), 199-219
  10. 박정아, 윤진숙(2005). 대구지역 주부들의 비만정도에 따른 식행동 특성과 영양섭취 실태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5), 623-632
  11. 보건복지부(2002)a. 2001 국민건강 . 영양조사-보건의식행태조사편.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2002)b. 2001 국민건강 . 영양조사-건강검진조사편.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2002)c. 2001 국민건강 . 영양조사-영양조사편. 보건복지부
  14. 손숙미(2001). 비만과 성인병 예방을 위한 밥 중심 식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5), 862-867
  15. 승정자, 김은영(2003). 폐경후 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상태와 항산화능에 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2(3), 193-202
  16. 안병철, 정효지(2005). 과체중-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영양학회지. 38(9), 786-792
  17. 윤군애(2003). 성인 여성의 비만위험도와 TV 시청시간 및 신체활동 수준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지, 36(7), 769-776
  18. 이방자(1990). 비만아동의 식습관과 식품기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6, 61-80
  19. 이선희, 심정수, 김지윤, 문형아(1996).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중년 남녀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9(5), 533-546
  20. 이은정, 김미현, 김화영, 조미숙(2003). 가임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실태 및 식습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2), 172-180
  21. 이지은(2005). 한국 성인 남 . 여의 식이섭취패턴분류와 이에 따른 영양섭취실태 및 만성질병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2. 이효지, 심정수(1999). 중년기 성인의 식습관과 영양 및 건상 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4), 17-27
  23. 장남수(1996). 서울지역 중상류층 성인의 식습관 변화. 한국영양학회지, 29(5), 547-558
  24. 전삼녀, 노희경(1998). 농촌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식품기호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3(1), 65-72
  25. 최미경, 김정미, 김종군(2003). 서울시내 직장인의 식습관과 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1), 45-55
  26. 최정숙, 지선미, 백희영, 홍순명(2003). 도시지역 성인의 식습관 및 식생활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7), 1132-1146
  27. 탁양주, 이영성, 이진석, 강재헌(2004). 최근 국내 비만 연구의 경향: 1984년부터 2002년 까지. 대한비만학회지, 13(1), 1-13
  28. 통계청(2005). 2004 사망원인 통계연보. 통계청
  29. 황춘선, 박모라, 양이선(1991). 중년기의 식습관 및 기호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6(4), 351-367
  30. Braitman LE,Adlin EV, & Stanton JL Jr (1985). Obesity and caloric intake: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1971-1975 (HANES I). J Chronic Dis, 38(9), 727-32 https://doi.org/10.1016/0021-9681(85)90114-6
  31. Cox DN, Perry L, Moore PB, Vallis L & Mela DJ(1999). Sensory and hedonic associations with macronutrient and energy intakes of lean and obese consumer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3(4), 403-410 https://doi.org/10.1038/sj.ijo.0800836
  32. Cox DN, van Galen M, Hedderley D, Perry L, Moore PB, & Mela DJ (1998). Sensory and hedonic judgments of common foods by lean consumers and consumers with obesity. Obes Res, 6, 438-447 https://doi.org/10.1002/j.1550-8528.1998.tb00376.x
  33. Drewnowski A(1997). Taste preferences and food intake. Annu Rev Nutr, 17, 237-253 https://doi.org/10.1146/annurev.nutr.17.1.237
  34. Drewnowski A, Brunzell JD, Sande K, Iverius PH, & Greenwood MRC(1985). Sweet tooth reconsidered: taste responsiveness in human obesity. Physiol Behav, 35, 617-622 https://doi.org/10.1016/0031-9384(85)90150-7
  35. Drewnowski A, & Hann C(1999). Food preferences and reported frequencies of food consumption as predictors of current diet in young women. Am J Clin Nutr, 70, 28-36 https://doi.org/10.1093/ajcn/70.1.28
  36. Rodin J, Moskowitz HR, & Bray SA(1978).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weight loss, and taste responsiveness. Physiol Behav, 17, 391-397
  37. WHO(1999). Development of food-based diet guideline for the western pacific region. World Health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