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of professionals and staff in roles of the central, district, and municipal Healthy Family Centers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전문가 및 실무자의 역할인식 조사연구 -중앙, 광역(시.도), 시.군.구 센터를 구분하여-

  • Chang, Jin-Kyung (Division of Family &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s Univ.) ;
  • Oh, Jea-Eun (Division Of Christian Studies Counseling, Baekseok Univ.) ;
  • Han, Eun-Joo (Seoul Dongjak-Gu Healthy Families Center The Leader of the Division of Family Education) ;
  • Ryu, Jin-A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
  • Won, So-Yeun (Department of Hom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
  • 장진경 (숙명여자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부) ;
  • 오제은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상담학) ;
  • 한은주 (서울시 동작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 류진아 (한국청소년상담원) ;
  • 원소연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6.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s of the central, district, and municip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order to establish their individual identities. Two hundred twenty-five 225 subject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about the role of eac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ofessors, public officials and staff who were in charged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entr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playa supportive role to develop and propagate a variety of programs which can be used for the clients in the district and municip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Second, roles of the distric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re highly recognized not only for their supportive role in activating municipal Healthy Family Centers but also for their publicity role in them. Finally, the most necessary role of the municip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s to manage family counseling and family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roles of eac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mutual relationship among central, district, and municip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should be horizontal. Moreover, distric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should be promptly established in order to enable for the central Center to play its roles properly.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선, 이승미(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성공적인 실천 전략III: 건강가정 사업 및 프로그램. 한국가정관리학회 35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 김명자, 계선자, 박미석, 장진경, 김연화, 한은주, 류진아(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성과 -용산구 . 숙명여자대학교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25-49
  3. 김정옥(2004). 지방분권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선린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개소기념세미나 자료집
  4. 류왕효(2004). 보육정보센터 기능강화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5. 송혜림, 장진경(2004a). 성공적 실천 전략II-건강가정지원 센터의 위상과 운영방안 모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 송혜림, 장진경(2004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과 운영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03-318
  7. 원소연(200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내용분석 및 홍보활동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원소연, 장진경(200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조직과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7), 129-145
  9. 이기영(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내용 소개 및 사회적 기여. 대구가톨릭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개소기념 학술발표대회자료집
  10. 이승미, 고선주, 성미애, 진미정(2005). 중앙, 시 . 도, 시 . 군 . 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및 체계구축.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연구보고서
  11. 정재훈, 송다영, 강창현(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발전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2. 조희금(200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가족자원경영학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5).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출판사
  14.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5). 건강가정사 양성교육 자료집
  15. 한국청소년상담원(2001). 청소년 지역상담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6. 한국청소년상담원(2002). 지역상담 활성화 콜로키움-시 . 도 청소년종합상담실의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7. 경기도 청소년상담지원센터: http://www.hi1318.or.kr/
  18. 수원시 청소년지원센터: http://www.suwon1318.or.kr/
  19. 중앙보육센터: www.educare.or.kr
  20. 한국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