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 Lee, Jung-Hyo (Department of Fores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Je (Department of Fores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ur, Tae-Chul (Department of Fores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all forest vegetation types in Ulleung Island, Korea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s phytosociology, and map ou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ose vegetation type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mountain forest type (Acer okamotoanum community group) and maritime forest type (Artemisia scoparia community group). Vegetation units at the community level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ix communities, sixteen groups, and seven subgroups, giving a total of 22 communities. Total area for mapping was 5,544.9 ha, of which Fagus engleriana community accounted for 1,952 ha (35.2%), Hedera rhambea community ror 1,196 ha (21.6%), Camellia japonica community for 1,104 ha (19.9%),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community for 612 ha (11.0%),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for 506 ha (9.1%), and Tsuga sieboldii - Pinus parviflora community for 174 ha (3.1%). According to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variables such as $Mg^{2+}$, pH, $Ca^{2+}$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maritime vegetation types, and variables such as total nitrogen, carbon content, C/N ratio and r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highly correlated in mountain vegetation types, respectively. The sea level and the slope direction were not showing regular trend as a factor to decide on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 this research area. But it seems to be affected by topography, slope degree and dominance vegetation.

본 연구는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울릉도 산림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적 분포 양상을 지도화하는데 있다. 이 지역 산림식생은 크게 우산고로쇠나무군락군의 산지 식생형과 해국군락군의 해안 저지식생형으로 양분되었으며, 군락 수준에서의 식생단위는 6개 군락, 16개 군,그리고7개 소군 등 3개 범주역에서 모두 2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도 작성 면적은 5,544.9 ha이며, 이 중 너도밤나무군락이 35.2%인 1,951 ha로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송악군락 1,196 ha (21.6%), 동백나무군락 1,104 ha (19.9%), 말오줌나무군락 612.0 ha (11.0%), 해국군락 506 ha (9.1%), 솔송나무-섬 잣나무군락 174.0 ha (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CA 분석에 의한 식생단위와 토양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안식생형에서는 $Mg^{2+}$, pH, $Ca^{2+}$등이 양의 관계, 그리고 산지식생유형에서는 전질소, 탄소, C/N율의 유기물 함량과 양이온 치환 용량 등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입지환경과 종 다양성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과 사면 방향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지만 지형과 경사도 그리고 우점하고 있는 식생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5. 기후통계자료(1971-2000). http://www.kma.go.kr (2005. 2. 1)
  2. 김태욱, 이돈구, 서민환. 1989. 설악산 오색계곡의 해발고에 따른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피나무류의 분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14(2-1): 21-26
  3. 민경덕, 김옥준, 윤석규, 이대성, 김규한. 1988. 한국 남부 백악기말 이후의 화성활동과 광화작용에 대한 판구조론의 적용성 연구 (II). 지질학회지 24: 11-14
  4. 박관수, 송호경, 이선. 2000. 울릉도 성인봉 주변 너도밤나무 하위군락별 토양 특성. Korean J Environ Biol 19(3): 299-305
  5. 박봉규. 1972. 울릉도의 식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생활과학연구원 8: 53-65
  6. 신만용, 이승만, 이돈구. 2005. 천연 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생장 및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산림관리. 한국임학회지 94(1): 26-33
  7. 신수철, 김창호, 박교수. 1993. 소백산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연습림논문집 3: 36-52
  8. 신현철, 이강영. 1990. 금산의 남북사면에 따른 삼림식생 구조. 한국임학회지 79(3): 245-254
  9. 이미정, 송호경, 이 선. 2000.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12-21
  10. 임업연구원. 1996. 계방산 및 울릉도 산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21호. 367p
  11. 임양재, 유광수, 백광수. 1980. 울릉도의 식생. 중앙대학교 기술과학 연구소 논문집 7: 1-12
  12. 임양재, 이은복, 김선영. 1982. 울릉도와 독도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 97-111
  13. 울릉군. 2006. 울릉군 일반현황. http://www.ulleung.go.kr/Ullung_County/status/status02.html (2006. 2.1)
  14. 원종관, 이문원. 1988. 한반도 제4기 알칼리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4: 181-193
  15. 장윤석, 임양재. 1985.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형과 그 구조. 식물학회지 28(2): 165-175
  16. 조현제, 배관호, 이병천, 홍성천. 1993. 울릉도 성인봉 일대 원시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139-151
  17. 조현제, 배상원, 배관호, 신준환. 1996. 울릉도의 산림식생. 임업연구원 산림과학논문집 53: 78-88
  18. Alban DH. 1969. The influence of western hemlock and western redcedar on soil properties. Soil Sci Soc of America Proc 33(3): 453-457
  19. Alban DH. 1982. Effects of nutrient accumulation by aspen, spruce, and pine on soil properties. Soil Sci Soc Am J 46: 853-861 https://doi.org/10.2136/sssaj1982.03615995004600040037x
  20. Barbour MG, Burk JH, Pitts WD.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pp 155-229
  2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 p
  22. Dale GB. 1998. Forest plant diversity at local and landscape scales in the Cascade Mountains of southwestern Washington. Forest Eco Manag 109: 323-341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266-7
  23.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 (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136p
  24. Hampe Gisela. 1982. Aspect of Applied Vegetation Ecology; the Natural Garden Movement in the Netherlands. Garten+Landschaft. 509p
  25. Kim JW. 1988. The phytosociology of forest vegetation on Ulreung-do, Korea. Phytocoenologia 16(2): 259-281 https://doi.org/10.1127/phyto/16/1988/259
  26.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 Ph. D. Thesis. Vienna Univ. 314p
  27. Krebs CJ. 1985. Ecology. 3rd edition, Haber & Row, Publishers, Inc. pp 3-14
  28. Loucks OC. 1970.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and community stability. American Zoologist 10: 17-25 https://doi.org/10.1093/icb/10.1.17
  29. Shannon CE, Weaver W. 1998.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44p
  30.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59 https://doi.org/10.1126/science.147.3655.250

Cited by

  1. Forest Type Classification and Successional Trends in the Natural Forest of Mt. Deogyu vol.105, pp.2, 2016, https://doi.org/10.14578/jkfs.2016.105.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