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 Focusing on Dok Rak Dang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통해서 본 한국전통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독락당을 중심으로 -

  • 이찬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 김태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Ceaseless studies and efforts to verify today's Korean nature that has advanced into digital era of 21C are continued. At this point of time, it is required to look back our heritage in diverse points of view free from theoretical and formal studies on our traditional spaces. Phenomenology, which is rising as the important theme in recent modem Western philosophy, suggests interesting analyses from this standpoin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Korea's traditional residents 'Dok Rak Dang' based on Ma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explore phenomenological spatial principle and new point of view implied in it. Particularly, Marleau-Ponty's phenomenology is the philosophy that shows intersubjective and involved relations between space and human, and intended to accept coincidental incidents occurred by human's action truthfully as they are. With three spatial concepts of direction, depth, and movement in Ponty's phenomenology, and placement nature of the earth that intercombine with human's body who is subject of these three concepts as analyze tool, Korea's traditional residents, 'Dok Rak Dang' has been analyzed. More segmentalized analyses have been deduced, and principle of phenomenology, that perceptions such as direction, depth, movement, etc are working synthetically to be accepted as essence of experiences could also be found in Dok Rak Dang.

Keywords

References

  1. 길성호, 수용미학과 현대건축, Spacetime, 2003
  2. 김봉렬, 앎과 삶의 공간(한국건축의 재발견2), 이상건축, 1999
  3.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서우석.임양혁 역, 청하, 1992
  4. 메를로-퐁티, 류의근 역,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5. 아케마츠 유우지, 건축공간의 미학, 이두열 역, 현대건축사, 2000
  6. 문화재청, 독락당 실측조사보고서, 2002
  7. 이종근, 건축의 존재와 의미, 기문당, 1995
  8. 이중우, 건축사상과 공간, 기문당, 2002
  9. 정진원, 건축세계에 있어서의 패러다임의 전환, 공간, 1993. 7
  10. 조광제, 몸의 세계.세계의 몸, 이학사, 2004
  11. 한국현상학회, 몸의 현상학, 철학과 현실사, 2000
  12. C.N. 슐츠, 실존.공간.건축, 태림문화사, 1997
  13. K. C. Bloomer&C. W. Moore, 신체.지각 그리고 건축, 이호진.김선수 역, 기문당, 1999
  14. 곽문정,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을 통한 체험된 건축공간 연구, 대한건축학회 발표논문집 25권 1호, 2005, 10
  15. 김재선, 현대 주거 실내공간에 있어 현상학적 빛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7권, 2호, 2005. 10
  16. 김흥수, 다니엘 리벤스킨트의 건축공간개념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 2002. 3
  17. 민우식, 스티븐 홀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현상학적 빛의 연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론, 2004
  18. 서정연, 현대건축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현상학적 중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권 2호, 2006. 4
  19. 신일순,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001
  20. 오혜선, '몸'의 관점으로 본 현대 건축의 표현 양상 연구, 대한건축학회 발표논문집 23권 1호, 2003. 4
  21. 이동찬, 시지각에 따른 조선중기 상류주거 외부공간의 구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0권 1호 183호, 2004
  22. 이옥련, 전통건축에서 나타나는 체험적 공간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발표논문집 25권 1호, 2005. 10
  23. 정변천, 현대 미니멀 건축의 작품경향에 관한연구, 부산대 석론, 2004.2
  24. 조성기,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현상학적 지각체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발표논문집 9권 1호, 198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