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eachate Distribution of the Mooreung Landfill Site with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전기비저항 탐사를 이용한 충주 무릉매립장 침출수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Jun-Kyoung (Dept. of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Geotechnics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 김준경 (세명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electrical resistivity prospecting method with dipole-dipole array was applied to the Mooreung landfill site in order to survey the existence of leachate around the landfill site. Moreover, if there is leachate within Mooreung landfill site, the analysis of potential pathways to exterior environments was tried. Within the landfill sit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omalies suggest that the leachate induced from the landfill materials has infiltrated the basement rock and fill the pores of basement rock in some parts of the landfill site. The consistency of the anomaly locations (left part of each survey line), anomaly geometries, and absolute resistivity value of anomaly through the 3 survey lines suggests that the resistivity anomaly be connected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and correspond to the leachate material. Finally, the result from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line near the gateway of the landfill site suggests that some of the leachate induced from landfill material leaks to the exterior groundwater system. It is necessary that more surveys using both geochemical and geophysical methods should be performed to find out potential pathways and depths of the leachate more precisely.

충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무릉 생활폐기물 매립장에 쌍극자 배열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폐기물 매립장 내부와 주변지역에 대해 침출수 존재 여부와 존재할 경우 하류지역으로 유출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매립장 내부의 전기비저항 분포특성을 고려할 때 매립 후 시간이 경과하여 매립물질로부터 유도된 침출수가 측선 곳곳에서 하부 지반의 공극으로 스며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3개 측선 모두 공통적으로 단면도 왼쪽 지역에 고립된 이상대가 존재하고 이상대의 위치, 발달형태와 전기비저항 절대값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상류, 중류 및 하류 지역에서 각각 발달된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상호 연결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매립장 출입구 부근에 설치된 측선에 대한 전기비저항 탐사결과는 매립장 일부 구간에서 매립장 외부로 침출수가 유출했을 가능성이 대단히 크고 보다 정확한 유출경로 및 심도 등을 분석하기 위해 향후 다른 방법의 지구물리탐사 및 지구화학적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탐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준경, 홍상표, 김광렬, 조용진, 2004,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노은매랍장 침출수 분포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3(5), pp.223-230
  2. 손정술, 김정호, 이명호, 고경석, 2005, 쓰레기매립장 주변의 침출수오염조사 사례: 전자탐사 및 자력탐사의 적용. 물리탐사, 8(2), pp.137-144
  3. 송성호, 용환호, 안중기, 김기표, 2003, 제주도 쓰레기매립장 침출수 조사를 위한 전기 및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적용. 물리탐사, 6(2), pp.1-10
  4. 이재용, 김학수, 1996, 불량쓰레기 매립지에 대한 물리탐사 적용사례 연구(I). 한국토양환경학회지, 1(2), pp.29-38
  5. 장현삼, 임해룡, 홍재호, 1998, 쓰레기매립장의 토양오염 조사를 위한 전자탐사 및 전기탐사. 물리탐사, 1(2), pp.87-91
  6. 김지수, 송영수, 윤왕중, 조인기, 김학수, 2003, 물리탐사 의 활용, 시스마프레스, 791p
  7. 임해룡, 1992, Fermat 원리 및 수정된 파선경로를 이용 한 비선형파선 토모그래피 연구. 서울대학교 공학박 사학위논문 205p
  8. 최오순, 1997, 물리탐사를 통한 매립장 주변의 지하수분포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환경부, 환경백서, 2005, 341p
  10. Diprowin, 2000, 희송주식회사
  11. Ward S. H., 1990,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VOL I, II, and III, SEG, 20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