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웹 카메라의 특성 분석 및 고해상도 행성촬영

SPECIFIC ANALYSIS OF WEB CAMERA AND HIGH RESOLUTION PLANETARY IMAGING

  • 발행 : 2006.12.10

초록

일반적으로 웹 카메라는 PC간 화상통신을 위해 많이 쓰이고 있으나, 화소수도 적고 장시간 노출촬영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천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장시간 노출이 필요 없는 달이나 행성 등을 촬영하기에는 부족함이 없기 때문에 아마추어 관측자들이 행성 촬영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웹 카메라 중에 CCD를 사용한 Philips사의 ToUcam Pro II를 사용하여 행성촬영을 하였고, 촬영한 동영상은 상용 프로그램인 Registax를 이용하여 합성을 하였다. 또한 웹 카메라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CCD의 특성 분석에 활용하는 직선성, 이득 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행성 촬영할 때 기존에는 필름이나 디지털 카메라, CCD로 한 장씩 찍었지만, 웹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동영상으로 촬영하여서 중은 이미지만을 골라서 합성하기 때문에, 훨씬 더 고해상도의 행성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행성관측 방법과 동영상 합성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Web camera is usually used f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PC, it has small sensing area, cannot using long exposure application, so that is insufficient for astronomical application. But web camera is suitable for bright planet, moon, it doesn't need long exposure time. So many amateur astronomer using web camera for planetary imaging. We used ToUcam manufactured by Phillips for planetary imaging and Registax commercial program for a video file combining. And then, we are measure a property of web camera, such as linearity, gain that is usually using for analysis of CCD performance. Because of using combine technic selected high quality image from video frame, this method on take higher resolution planetary imaging than one shot image by film, digital camera and CCD. We describe a planetary observing method and a video frame combine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재만, McGregor, P., 성언창, 김호일 1997, 1.8m 망원경용 근적외선 관측시스템 개념 설계 기술보고서 (대전:한국천문연구원)
  2. 박영식, 이청우, 진호, 한원용, 남욱원, 이용삼 2000, 한국우주과학회지, 17, 53
  3. Han, W. Y.1993, PhD Thesis , University of London
  4. Suiter H. R.1994, Star Testing Astronomical Telescopes (Virginia: Willmann-Bell), pp.12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