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 STRUCTURAL ANALYSIS OF MULTI-OPTICAL MOUNT SYSTEME FOR TRACKING/OBSERVING ARTIFICIAL SPACE OBJECTS

인공우주물체 추적/관측을 위한 다중 광학계 탑재용 가대 설계 및 구조해석

  • Seol, K.H.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Kyung Hee Univ.) ;
  • Kim, S.J.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Kyung Hee Univ.) ;
  • Jang, M.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Kyung Hee Univ.) ;
  • Min, S.W.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Kyung Hee Univ.) ;
  • Mun, B.S.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Kyung Hee Univ.)
  • 설경환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우주과학기술연구실) ;
  • 김상준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우주과학기술연구실) ;
  • 장민환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우주과학기술연구실) ;
  • 민상웅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우주과학기술연구실) ;
  • 문병식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우주과학기술연구실)
  • Published : 2006.12.10

Abstract

Since artificial space objects are observable on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otion is not exactly predictable, it is difficult to obtain both 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data by a set of observations. We have, therefore, designed a mount to load multi-optical instruments on the Kyung Hee University (KHU) satellite tracking and observation system for both 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artificial space objects. In this paper, we have calculated the deformation of the remodeled mount using structural analyses for the loading of the multi-optical instruments. We have also deduced pointing errors of the mount occurring at tracking and observing artificial space objects. we have derived tracking reliably artificial space objects in our field of view and confirmed structural safety test of mount utilizing equivalent (von-mises) stress distribution.

인공우주물체는 출현 시간이 비교적 짧고 운동 특성이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관측으로 측광 및 분광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우주물체의 측광 및 분광 동시 관측을 위해서 경희대학교 인공위성 추적 및 관측시스템에 다중 광학계를 탑재할 수 있는 가대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해석을 통해 다중 광학계 탑재 시에 개조된 가대의 변형을 계산하고 인공 우주물체 추적 및 관측 시 발생할 수 있는 가대의 지향오차를 추론하여 관측시야에서 인공우주물체를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등가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가대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상웅 2004,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2. 이동규 2004,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3. Gere, J. M. 2003, SI 재료역학 5판 (서울: 인터비전), pp.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