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sign Research on Facade in Corporate Commercial Space Identity

Space Identity를 위한 기업 상업공간 파사드 디자인 연구

  • 황보현욱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In recent marketing circumstances we passed the days just dealt with products sales and faced Sensitivity Marketing era concluded by merchandise, corporate and brand image. Especially although corporate commercial space is the important strategy factor performing immediate satisfaction, experience,sensitive stimu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among customers, most of the domestic firms don't recognize its importance when looking into adopted graphic factors at spaces without consideration for a variety of space function, concept,merchandis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facade, which performs as visual information conveyance, boundaries of architecture and concluding space concept, merchandise image and incoming customer based on linkage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is the important point. This research specializing the examples of facade design of corporate and brand commercial space including service, purchasing and advertising looks into reflected space identity through facade and theoretical factors for commercial space function, concept, merchandise and customers related facade design and makes alternative plans in order to make a better commercial space identity program.

현재 마케팅 환경은 과거의 가격 위주 전략의 제품판매 시대를 지나 상품,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통한 감성마케팅 시대로 접어들었다. 특히 고객의 직접 대면 장소인 기업 상업 공간 Space Identity는 직접 체험, 감각적 자극, 즉시 만족, 사회적 관계 형성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내 기업이 CI 기본 시각 시스템을 그대로 대입하는 2차원적 디자인 고려에만 머무르고 있으며 상업공간의 다양한 기능성, 컨셉, 상품과 고객 만족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공간과 고객의 최초 대면 접점인 파사드는 시각적 정보전달, 물리적 경계 역할과 더불어 내외부 공간의 연결성을 통해 공간의 컨셉과 기업과 상품 이미지, 정보 전달 및 고객 유입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판매, 서비스, 홍보 등이 중심이 된 기업의 상업공간 파사드를 통해 상업 공간 전반에 적용된 Space Identity 적용 사례를 조사하여 상업 공간의 기능에 따른 상품, 고객 유입을 위한 이론 연구 바탕을 마련하고, 이론적 배경과 사례에서 지적된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발전된 디자인을 위한 제안을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