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al Economy in the Age of Broadcast and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An Introductory Inquiry for Critical Succession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정치경제학: 비판적 계승을 위한 시론적 탐색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olitical economy as a theory of knowledge and/or a method for explaining the convergence of broadcast and telecommunications. It is going to suggest what the domains of political economy should be in the future by both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and blind spots of previous studies and drawing some distinctive features of a new media environment. The principals and recent research trends in political economy are reviewed in order to make clear that the historical totality as a meta-framework of political economy needs to be reexamined in the era of convergence. Although the scope of political economy has been limited to criticize the structure of media ownership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dia consumer theory. It also discusses the problems of free market theory, distortion of active media audience theory, and limitations and creative tension of audience commodity. Finally, this study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audience-oriented policies in order to make approach to practical sides of media politics.

이 연구의 목적은 방송통신 융합 환경을 설명하는 하나의 인식론이자 접근 방법으로서 정치경제학의 가치를 재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정치경제학 연구의 특징과 맹점을 밝히고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의 특징적 현상을 도출함으로써 정치경제학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야 할 영역이 무엇인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정치경제학의 역사적 총체성이란 거시적 문제 틀을 방송통신 융합 시대에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그에 입각해서 정치경제학의 원리와 연구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디어 자본의 소유구조에 대한 비판만으로 정치경제학의 범위를 한정시켰던 '경제주의 적'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용자 이론의 적극적 재개념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재개념화의 이론적 출발점으로 신자유주의적 시장론의 문제점, 능동적 수용자론의 왜곡, 수용자 상품론의 한계와 창조적 긴장을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 정치학의 현장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수용자 중심의 정책 이념의 확보 방안을 제안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