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Volume 2 Issue 1
- /
- Pages.41-63
- /
- 2006
- /
- 1738-9496(pISSN)
- /
- 2508-4208(eISSN)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y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 Received : 2005.05.06
- Accepted : 2006.06.03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mother's feeling expressio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y by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provide a basic material to develop the parents' education for mother's promosing emotional environment to help development of children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among mother's feeling expressio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y. The research objects were 361 of 4 to 6-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tool adapted by Woo Sookyong(2002) was used fo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the tool of Lee Jeongran(2003) for the of self regulation and the tool of park Joohee and Lee Eunhae for the children's peer competenc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opulation, percentage, t-test, Cronbach
어머니의 정서환경은 유아에게 지속적이고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머니의 바람직한 정서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충주시의 유아교육기관 만4~6세 유아 361명과 그의 어머니 3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 유능성을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처리를 위해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학력과 가계 수입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 연령에 따라, 또래유능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표현, 약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인 자기결정과 행동억제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강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정서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과 약한-부정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 등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어머니의 정서환경에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약한-부정 정서표현의 영향을 밝혔으므로,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부정적 정서표현이 바람직한 형태로 부모의 정서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