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oreign Crew's Cultural Homogeneity on th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혼승선박 내 외국인선원의 문화적 동질성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커미트먼트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 of foreign crew's cultur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Currently, the restrictions on the employment of the foreign crews are being eased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and many problems are occurring consequently. However, specific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relevancy of cultural characteristics to the crew'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board the vessels with combined crews have not yet been carried out. To solve these problems, we examined how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acculturation and accommodation of different cultur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cultural homogeneity of vessels with combined crews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foreign crews through SEM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1 and 2 were all suppor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at foreign crew's cultural homogeneity and their self-efficacy should be firstly enhanced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vessel with combined crews. Furthermore, a study on self-efficacy of crew organization is urgently nee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in a vessel with combined crews that has special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organization management of a vessel with combined crews.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외국인 혼승선박에서의 문화적 특성이 자기효능감과 조직 커미트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현재, 해운산업에 있어서 외국인 선원 고용제한이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혼승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선원 혼승선박의 문화적 특성이 선박구성원으로서의 자기효능감과 선박조직의 커미트먼트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가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선원 혼승선박의 문화적 동질성 제고와 관련된 이문화 수용과 적응 등의 문화적 특성이 외국인 선원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같은 조직커미트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가설이 모두 채택되어, 혼승선박 내 외국인 선원의 문화적 동질성을 제고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혼승선박조직의 조직커미트먼트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더욱이, 혼승선박과 같은 특수 환경 조직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혼승선박 조직관리에 있어서 그 공헌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희(2002), "한국해운의 생존, 구조경제 달성에 달려있다." Weekly Shipping & Shipbuilding Market Review, 해운물류연구실.
  2. 김재근(2004), "자기효능감, 학교학습동기, 사회적 지지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백혜순(2004), "인지 정서 행동(REBT) 집단상담이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손준상(2001), "조직특성 및 개인특성이 판매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제8집, pp.1-28. https://doi.org/10.1080/12297119.2001.9707514
  5. 신용존(1994), "조직커미트먼트가 안전관리 의사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6. 이인선(2004),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전현숙(2004), "기업의 서비스지향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종업원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최낙환, 박소진(2001), "구전정보 탐색동기와 자기효능감이 구전정보에 대한 의존성에 미치는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12권 제2호, p.55-78.
  9. 한광현(2003), "리더 멤버 교환, 셀프 에피커시, 조직시민 행동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제37호, pp. 647-662.
  10. 한인수, 신현교(1996), "자기효능감, 성과 및 귀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 경영경제연구소, 경영논집, 제12권, pp. 71-96.
  11.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2.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and Company.
  13. Earley, P. C.(1994), "Self of Group? Cultural Effects of Training 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dministrativeScienceQuarterly, 39(March), pp. 89-117 https://doi.org/10.2307/2393495

Cited by

  1.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ype of Mixed Manning and the Ratio of Foreign Crew, the Acceptance and Adaptation of Cross-Culture to the Group Cohesiven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hip Organizations vol.38, pp.5, 2014, https://doi.org/10.5394/KINPR.2014.38.5.527
  2. Seafarers’ Quality of Life: Organizational Culture, Self-Efficacy, and Perceived Fatigue vol.15, pp.10, 2018, https://doi.org/10.3390/ijerph1510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