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Computer Applications on the Improvement of Farm Household Income

정보화가 농가소들 증대에 미치는 영향

  • Yu, Seung-Ju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Joong-Koo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eong-Woo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승주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사회개발학전공) ;
  • 조중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사회개발학전공) ;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사회개발학전공)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ncrease fm household income through investigating their computer applications. We utilized the 2000 Korea Agricultural Survey data and applied a Heckman Selection Model to correct a selection bias. The pres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determinant of income among fm households by the level of computer applications h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ased on their choices of computer applications.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general linear regression about fm income without adjusting these choices may cause statistical fallacy. Seco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ncreasing the member of household is not directly related to increasing the fm income. In case of computer-own farm household, the effect of decrease in income according to increasing in age was predicted. However, in the fm household not possessing computer, it shows negative relationship. It shows that an agricultural career of farm owner and educational attainment of all farm household members have positive relationship regardless of computer possession. The income of the farm household those main field is not agriculture is also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farm household whose major earnings come from agricul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혁, 박세권, 1996, 농촌지역정보의 수요파악과 효율적인 지역정보화 방안, 농촌정책연구 23(2) : 175-198
  2. 김선기, 권오혁, 장은주, 2001, 지역간 정보격차해 소를 위한 정보화 확산방안, 서울 : 한국지방행정 연구원
  3. 김희진, 손진화, 이영균, 1999, 정보사회론, 서울 : 세 창출판사
  4. 류승호, 1996, 지역정보화 정책과 지역정보의 위상, 한국사회학 30 : 731-758
  5. 이동필, 이장호, 김종선, 한근수, 2001, 농촌지역의 정보화 실태와 정보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 국농촌경제연구원
  6. 이성우, 민성희, 박지영, 윤성도, 2005, 로짓프라빗 모형응용, 박영사
  7. 이성우, 임형백, 2005, 정보화와 농촌사회, 명진 씨앤피
  8. 이성우, 임형백, 조중구, 2004, 농가 정보화의 결정 요인과 지역간 차이, 농업경제연구, 45 : 1-24
  9. 이정규, 1999, 농업 . 농촌의 정보화를 위한 농학계 대학의 역할,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논 문집,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0. 이찬우, 2001, 농촌의 정보격차(Digital Divide)해소를 위한 거점방식의 정보화 확산 전략; 물리적 거점과 인적 거점을 혼합한 거점방식, 2001년도 경영 정보계열 공동 국제학술대회
  11. 임창호, 1998, 정보기술의 발달과 도시에의 영향 : 계획 패러다임의 위기와 도시의 미래, 국토계획, 33(6) : 7-31
  12. 임형백, 이성우, 농촌사회의 환경과 기능, 서울대 학교출판부
  13. 장욱, 송미령, 2001, 농업과 농촌발전을 위한 정보 통신기술의 역할: 기대와 현실, 국토계획, 36(3) : 255-271
  14. 장욱, 송미령, 2002, 농업 . 농촌발전을 위한 정보통 신기술의 적용의 도전과 장벽, 한국지역개
  15. 주성재, 2001, 농촌지역의 정보화와 생활변화: 강원 도 원주시 정보화시범마을 사례, 국토계획, 36(6) : 137-151
  16. 최신융, 1993, 정보사회와 권력관계의 변화, 박재 창 편, 정보사회와 정치과정, 서울 : 비봉출판사
  17. 추병완, 2001, 인터넷과 윤리: 사이버윤리의 접근 방법, 정보와 사회, 3 : 1-27
  18. 추병완, 2003, 사이버윤리교육의 새로운 접근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2 : 127-156
  19. 한국전산원, 2000, 국가정보화백서
  20. Bell, D.,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Harmondsworth: Penguin, Peregrine Books
  21. Castells, M., 2001, 정보도시: 정보기술의 정치경제학, 한울아카데미
  22. Greene, William H., 1995, Limdep Version 7.0 User's Manual
  23. Harvey, D., 1994,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24. Johnson, N. and Kotz, S., 1972, Continuous Multivariate Distributions, New York: Wiley
  25. Tiepoh, M. Geepu Nah., and B. Reimer, 2004, 'Social capital, information flows, and income creation in rural Canada: a cross-community analysis', Journal of Socio-Economics, 33 : 427-448 https://doi.org/10.1016/j.socec.2004.04.007
  26. Toffler, A. 1990, Power Shift, New York: Bantam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