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Brand Value Measurem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arket Performance

소매점 브랜드 가치 구성요소와 선호도, 만족도,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uh, Yong-Gu (Department of Business of Administr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Im, Seung-Hee (Division of Business of Administration, Jeonju University)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A systematic brand value management starts from its measurement. Accordingly, a number of studies have proposed to measure the value of the brands. However, most of them deal with the brand value of the tangible products. Also, in many cases, such an effort did not bring long-lasting effects because either it ended up with an one-time measurement or it employed a different measurement method each time, thus hampering the comparability of the results and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over time. So, this study has measured retail brand value index of the discount stores and the department stores of Korea every year between 2002 and 2004. And then it provides what they have found over that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tail brand value components and the market performance.

체계적 브랜드 관리는 브랜드 가치의 측정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많은 선행 연구들은 브랜드 가치 측정 방안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유형 제품을 측정 대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브랜드 가치 측정이 일회 측정에 끝나거나, 반복 측정의 경우에는 측정 방법의 변화로 비교 가능성이 낮고 지식이 축적되지 않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매점의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 할인점과 백화점을 중심으로 이들의 소매점 브랜드 가치 지수의 변화를 2002년에서 2004년에 걸쳐 동태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할인점의 경우 조사 대상에 포함된 모든 할인점의 브랜드 가치가 처음 측정 시점인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지속적으로 증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할인점 브랜드가 1위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외자계 업체들의 두드러진 성장 추세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백화점의 경우 시장 내 확고한 1위 자리를 차지한 소매점 브랜드가 발견되지 않고, 서로 비슷한 역학 관계 속에서 선두 다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3년을 지나서는 백화점 브랜드 가치의 성장이 전반적으로 둔화 또는 감소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소매점 브랜드 가치지수의 동태적 측정과 더불어 소매점 브랜드 가치 구성요소와 시장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할인점과 백화점 각각에서 시장성과와 유의미한 관계에서 있는 브랜드 가치 구성요소를 규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