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s for the Youngsan River Basin

영산강유역의 면적우량감소계수 산정

  • Lee, Jae-Hyung (Infra and Environment Group, HYUNDAI Engineering, Co.) ;
  • Koh, Won-Joon (Infra and Environment Group, HYUNDAI Engineering, Co.) ;
  • Lee, Yoon-Young (Infra and Environment Group, HYUNDAI Engineering, Co.) ;
  • Kim, Dae-Geun (Major in Civil Engrg., Div. of Construction Engrg., Mokpo Nation Univ.)
  • 이재형 (현대엔지니어링(주) 토건환경사업본부) ;
  • 고원준 (현대엔지니어링(주) 토건환경사업본부) ;
  • 이윤영 (현대엔지니어링(주) 토건환경사업본부) ;
  • 김대근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토목공학)
  • Published : 2006.10.01

Abstract

By analyzing the concurrent rainfall data from rainfall gauges positioned in the Youngsan River basin, the areal reduction factors related to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san River basin are estimated. The estimated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the Han River basin, and show that the rate of decrease of the areal reduction factors of the Youngsan River basin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Han River basin as the basin area is increasing. That is especially true for short-term duration storm events. These findings reveal that the spatial variations in the Youngsan River basin's storms are smaller than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 storms In the Han River basin, due to the size of the two basin areas in addition to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rainfall distributions.

영산강유역에 위치한 우량관측소의 동시간대의 우량자료를 이용하여 영산강유역의 강우특성을 반영한 면적우량감소계수를 산정하였다. 영산강유역에 대하여 산정한 면적우량감소계수를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산정한 면적우량감소 계수와 비교한 결과, 유역면적의 증가에 따른 면적우량감소계수의 감소폭이 전반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특히 단기간 지속시간 강우에 대해서 면적우량감소계수의 감소폭이 작게 나타났다. 이는 한강유역과 영산강유역의 유역규모 차이와 지형학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영산강유역에서 발생한 호우의 특성이 한강유역에 비해 지역별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음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 조사 보고서 제1권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
  2. 신은우, 김경덕, 문영일 (2004). '한강유역의 설계호우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4B호, pp.281-294
  3. 윤용남, 강성규, 장수형 (2004). '유역의 시. 공간적 분포특성을 고려한 면적감소계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5
  4. 이길춘 (1987). 지점우량의 지역빈도해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정종호, 나창진, 윤용남 (2002). '한강유역의 면적감소계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5권, 제2호, pp. 173-186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1). 면적우량과 강우의 공간 변화해석-면적우량 환산계수를 중심으로- , 건기연 91-WR-113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
  7. Asquith, W.H. and Famiglietti, J,S. (2000). 'Precipitation areal-reduction factor estimation using an annual-maxima centered approach.' Journal of Hydrology, Vol. 230, pp. 55-69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170-0
  8. Bacchi, B. and Ranzi, R. (1996). 'On the derivation of the areal reduction factor of strorms.' Atmospheric Research, Vol. 42, pp. 123-135 https://doi.org/10.1016/0169-8095(95)00058-5
  9. Hershfield (1961). Rainfall-frequency atlas of the United States for durations from 30 minutes to 24 hours and return periods from 1 to 100 years, Tech. Paper 40,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0. Sivapalan, M. and Bloschl, G. (1998). 'Transformation of point rainfall to areal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Journal of Hydrology, Vol. 204, pp. 150-167 https://doi.org/10.1016/S0022-1694(97)00117-0

Cited by

  1. Bias from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in the Applic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vol.22, pp.12, 2018, https://doi.org/10.1007/s12205-017-17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