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earch Model for the Standardization of Software-Similarity-Appraisal Techniques

소프트웨어 복제도 감정기법의 표준화 모델에 관한 연구

  • 방효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 차태원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 정태명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Similarity(Reproduction) Degree Appraisal is to determine the equality or similarity between two programs and it is a system that presents the technical grounds of judgment which is necessary to support the resolution of softwa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expert eyes.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proceeding software appraisal are not to make too much of expert's own subjective judgment and to acquire the accurate-appraisal results. However, up to now standar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its systematic techniques are not properly made out and as different expert as each one could approach in a thousand different ways, even the techniques for software appraisal types have not exactly been presented yet. Moreover, in the analyzing results of all the appraisal cases finished before, through a practical way, we blow that there are some damages on objectivity and accuracy in some parts of the appraisal results owing to the problems of existing appraisal procedures and techniques or lack of expert's professional knowledg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model for the standardization of software-similarity-appraisal techniques and objective-evaluation methods for decreasing a tolerance that could make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each expert in the same-evaluation points. Especially, it analyzes and evaluates the technique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standard appraisal process, setting a range of appraisal, setting appraisal domains and items in detail, based on unit processes, setting the weight of each object to be appraised, and the degree of logical and physical similarity, based on effective solutions to practical problems of existing appraisal techniques and their objective and quantitative standardization. Consequently, we believe that the model for the standardization of software-similarity-appraisal techniques will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mistakes due to an expert's subjective judgment as well as it will offer a tool for improving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appraisal results.

소프트웨어(SW) 복제도 감정의 목적은 두 프로그램 사이의 동일 또는 유사성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 컴퓨터프로그림 저작권 관련 분쟁해결의 주요한 기술적 판단근거를 제시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SW감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감정인의 주관적 판단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신속 객관적인 감정의 수행으로 정확한 감정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체계적인 감정기법의 표준화 연구 및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며, SW감정 분야별(유형별) 감정기법 조차 전문 감정인들에 따라 그 접근방법이 천차만별이어서 뚜렷한 표준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 수행되었던 감정사례에 대한 실증적 분석 결과, 기존 감정 절차 및 기법의 오류 또는 감정인의 전문지식 결여 등의 문제가 잠재하여 일부 감정결과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에 손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에 따라 동일한 평가 항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오차의 허용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방법과 정형화된 SW복제도 감정기법의 표준화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기존 감정기법의 문제점 해결 및 보완 연구를 기반으로 감정범위의 설정, 감정기준 및 방법, 단위작업 프로세스 기준의 감정영역 및 감정항목 설정, 가중치 부여, 논리적 복제도와 물리적 복제도 산출 등에 초점을 맞추어 감정기법을 분석 평가한다. 따라서 SW복제도 감정 기법의 표준화 모델은 감정인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감정결과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한층 제고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방효근외 3명, 'Chain hashing 기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감정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9-55, 2003. 6
  2. 방효근외 2명, 'S/W하자 및 완성도 감정을 위한 평가방법 및 표준화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91-97, 2004. 5
  3. 방효근외 2명, '소프트웨어 복제 감정을 위한 유사도 및 복제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제2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9-15, 2003. 11
  4. '개정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2006년 7월 1일 시행
  5. '개정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38조의2
  6. '프로그램감정서자료집 I-IV',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2001-2004
  7.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pdmc.or.kr/affairs/appraisal/intro.jps
  8.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감정평가팀 규정집 프로그램감정업무처리규칙',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전문개정 2004. 1. 30
  9.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홈페이지, http://www.ksavs.or.kr
  10. 국가기술사무소 한국기술평가 홈페이지, http://www.tech-evaluation.com/business.html
  11. Dr. Judith Barlow's homepage, http://my.fit.edu/~jbarlow/HBB/PlagiarismStuff/PlagiarismDetectionTools.htm
  12.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homepage, http://www.jiscpas.ac.uk
  13. Centre for Interactive Systems Engineering homepage, http://cise.sbu.ac.uk
  14. School of Computing University of Leeds homepage, http://www.comp.leeds.ac.uk/eric
  15. Staff and Educ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homepage, http://www.seda.ac.uk/ed_devs/vol2/plagiarism.htm
  16. Department of Computing's plagiarism bibliography homepage, http://domino.lancs.ac.uk/computing/plagiarism.nsf
  17. Centre for Information and Computer Sciences homepage, http://www.ics.ltsn.ac.uk/resources/assessment/plagiarism
  18.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homepage, http://www.ukcle.ac.uk/resources/plagiarism/index.html
  19. Plagiarism information for staff homepage, http://www.ltu.mmu.ac.uk/plagiarism/index.php
  20. Institute for Program Structures and Data Organization(IPD) homepage, http://www.ipd.uka.de
  21. plagiarism.org homepage, http://www.plagiarism.org
  22. Center for Intellectual Property homepage, http://www.umuc.edu/distance/odell/cip/links_plagiarism.html
  23. UC Berkeley EECS homepage, http://www.eecs.berkeley.edu/Research/Areas/CS/PS
  24. Academic Integrity, Faculty Responsibilities homepage, http://teachx.rutgers.edu/integrity/faculty.html
  25. The Center for Academic Integrity homepage, http://www.academicintegrity.org/resources_inst.asp
  26. Center for Excellence in Learning and Teaching homepage, http://albany.edu/cetl/teaching/plagiarism.html
  27. Office of the Vice Chancellor for Research homepage, http://www.research.uiuc.edu/ethics/plagiarism.asp
  28. Plagiarism Blog homepage, http://tass-plagiarism.blogspot.com
  29. Plagiarized.com homepage, http://www.plagiarized.com
  30. UNB Saint John Ward Chipman Library homepage, http://www.unbsj.ca/library/electron/ethics.htm#plag
  31. Plagiarism and Intellectual Honesty homepage, http://plagiarism.dal.ca
  32. Centre for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homepage, http://www.cshe.unimelb.edu.au/assessinglearning/03/plagMain.html
  33. Academic Honesty and Plagiarism homepage, http://www.services.unimelb.edu.au/plagiarism
  34.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프로그램 복제도 감정 기법 및 감정비 산출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연구보고서, 2002. 2
  35.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유형별 감정기법 표준지침',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연구보고서, 2005. 12
  36. 방효근, 'S/W유사도 감정도구의 설계 및 구현',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pp.25-33. 2005. 11
  37.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2005년도 SW감정도구개발 완료 보고서',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SW복제도 감정도구(exEyes)개발 최종 완료 보고서, 2005. 12
  38. Grig Software homepage, http://www.grigsoft.com/wincmp3.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