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 치아 및 악궁의 크기와 총생의 관계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KOREAN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홍성수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Hong, Sung-S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06.08.31

초록

본 연구는 총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총생군 50명(남녀 각 25명)과 정상 교합군 40명(남녀 각 20명)에서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이를 3D model로 변환하였으며 컴퓨터 상에서 치아의 근원심폭경과 악궁의 길이 변연길이,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을 계측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크기 분석시 상악에서는 측절치와 제1,2소구치에서 총생군의 치아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치아의 크기 및 치아크기합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하악에서는 중절치와 견치 및 제 1,2 소구치의 크기 그리고 치아크기합계에서 군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3. 악궁에 대한 평가시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 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작았고 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컸으며 (P<0.05), 악궁의 장경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하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는 총생군에서 더 작았으나(P<0.05), 악궁의 장경 및 구치간 폭경, 견치간 폭경에서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5. ALD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gamma}=-0.348)$ 구치간 폭경 $({\gamma}=-0.343)$, 소구치크기와$({\gamma}=-0.335)$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에서는 치아크기합계를$({\gamma}=-0.454)$ 비롯한 모든 치아크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석고모형 계측치와 삼차원모형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석고모형에 비해 삼차원모형 계측치가 좀더 크게 계측되었으며 (P<0.05), 오차의 범위는 0.01-0.47mm이었다. 7 검사자내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석고모형 계측시 보다 삼차원모형 계측치의 재현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총생이 존재할 때 상악에서는 큰 치아와 좁은 악궁이 복합적으로 기여하며 하악에서는 치아 크기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삼차원모형은 현재 적절하게 사용가능하지만 향후 개선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each contribute to dental crowding. The sample included 50 subjects with well aligned dentition (25 males, 25 females) and those of 40 subjects with gross dental crowding(20 males, 20 females). Plaster model and digital model made from alginate impression taken at the one visit. Tooth size, arch length, arch perimeter, intercanine width and intermolar width was measured on the plaster and digital models. The findings in this study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maxilla, the mesiodistal diameters of lateral incisor and premolars of the crowded group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P<0.05). 2. In mandible, the mesiodistal diameters of central incisor, canine and premolars of crowded group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P<0.05). 3. In maxilla, arch perimeter and intermolar width of crowded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but intercanine width of crowded group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rch length (P>0.05). 4. In mandible, arch perimeter of crowded group was small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P<0.05). There were no difference in arch length intermolar width and intercanine width (P>0.05) 5.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rch length discrepancy with variables, arch perimeter, intermolar width and mesiodistal width of 2nd premolar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maxilla.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oth width measurements made by the 2 methods, with all the digital model measurement larger than plaster model measurements (P<0.05) : the magnitude of the differences does not appear to be clinically relevant. 7. In the analysis for reproducibility, the plaster model measurement was showed lower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1st and 2nd measurement than digital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