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치 치근분지부 부근관의 빈도와 개통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FREQUENCY AND PATENCY OF ACCESSORY CANALS IN FURCATION AREAS OF PRIMARY MOLARS

  • 이승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성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Lee, Seu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8.31

초록

유구치의 깊은 우식으로 치수병소가 유발되어 주위 조직에 농양이 형성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특히 유구치에서 치근분지부 방사선투과성 병소를 흔히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병리적 과정에서 유구치 치근분지부 부근관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구치의 치근분지부 부근관의 존재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고 그 방법 또한 다양하였으나 유구치의 치근분지부 부근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구치 치근분지부 부근관의 형태적 특징과 빈도, 개통성을 이해하고자 52개의 치아를 주사형 전자현미경과 진공 흡입하에 염료를 침투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사전자현미경 연구에서 유구치 치근분지부 외면과 내면에서의 부근관의 빈도는 각각 60%, 35%였고, 부근관의 직경은 각각 $11{\sim}107{\mu}m$, $13{\sim}62{\mu}m$였다. 2. 진공 흡입 방법과 염료 침투법을 시행하여 치근분지부에 개통된 부근관을 가지는 유구치의 빈도는 20개의 시료중 50%이었다.

Deep caries in primary molars without early intervention frequently induce a pulpal disease and consequent abscess lesion in surrounding tissue. Especially in many furcation radiolucent lesions of primary molars, accessory canals in furcation areas of primary mola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ses pathological progress. Although the studies of these communication canals in furcation area of human permanent molar well documente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showing their existence in primary molar.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cessory canals at furcation areas of primary molars and examining its frequency and patency, 52 specimen teeth were observed under the scanning electro-microscope and tested with dye penetration under vacuum pressure, and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 1. In SEM study, the frequency of accessory foramina viewed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furcation area was 60% and 35% respectively. Likewise the diameter of the accessory canals was within the range of $11{\sim}107{\mu}m$ and $12{\sim}62{\mu}m$ respectively. 2. The frequency of patent accessory canals evidenced by the dye penetrated under the vacuum suction at furca areas in primary molars was 50% among the 20 specimen teeth tested.

키워드